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휴넷 조영탁 대표 "직원 행복한 기업 만들면 주 4일제여도 성과 더 좋아"

글로벌이코노믹

휴넷 조영탁 대표 "직원 행복한 기업 만들면 주 4일제여도 성과 더 좋아"

휴넷의 조영탁 대표가 행복경영 20년의 성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휴넷이미지 확대보기
휴넷의 조영탁 대표가 행복경영 20년의 성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휴넷
휴넷은 11월 21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행복경영 20년'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행복경영 20년 & Next', '휴넷의 행복경영 사례와 주 4일제 실험', '행복경영 중소기업(씨엠에스랩, 오픈놀) 사례 발표'를 실시했다.

휴넷은 구성원이 행복해야 성장할 수 있다는 신념을 바탕으로 '행복경영'을 20년째 이어왔다.

휴넷 조영탁 대표는 "창업 이후 경영을 새롭게 공부하며 2003년에 '행복경영'을 만들었다. 행복경영을 공부하며 접했던 훌륭한 지식을 주변인들과 나누자는 생각으로 매일 '행복한 경영이야기' 뉴스레터를 보낸 것이 20년이 됐다"고 말했다.

'행복경영'은 기업의 목적을 이익 극대화가 아닌 직원, 고객, 사회, 주주 등 이해관계자의 행복 극대화를 최우선 원칙으로 한다. 조 대표는 △휴넷에 적용한 행복경영 실험, △중소기업 CEO 대상 '행복한 경영대학'을 통한 행복경영 기업 확산 사례를 소개했다.
휴넷은 다양한 방식으로 행복경영을 구체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기업의 성장도 이뤘다. 우선 직원 행복을 7개로 정의 내린 'Magic+'를 만들고, 매년 100개 항목의 직원 설문조사를 통해 직원행복점수를 측정 및 개선해나가고 있다. 대표적으로 '직원연금제도', '안식휴가', '독서경영', '직원 학습플랫폼', '시차출퇴근제', '주 4일제' 등 혁신적인 제도를 시행 중이다.

복지와 다양한 지원은 늘었지만 휴넷은 창립 이후 매년 매출액을 경신하고 있다. 최근 3년간 평균 매출 성장률은 22%를 기록하고 있다. 실적 면에서도 성장세를 이어가며 행복경영의 성과를 입증하고 있다.

휴넷의 다양한 '직원행복제도'. 직원들의 행복도를 높이고 목표 달성도 함께 높이며 더 많이 쉬고 더 많은 성과를 내는 문화를 정착시켰다. 이미지 확대보기
휴넷의 다양한 '직원행복제도'. 직원들의 행복도를 높이고 목표 달성도 함께 높이며 더 많이 쉬고 더 많은 성과를 내는 문화를 정착시켰다.

휴넷 인재경영실 문주희 실장은 '주 4일제' 사례 발표를 진행했다. 휴넷은 지난해 7월부터 매주 금요일이 휴무인 주 4일제를 시행 중이다.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도입한 일부 기업들과는 달리 연차 소진, 급여 삭감 등이 없는 온전한 주 4일제다. 휴넷은 '100% 월급 받고, 80% 근무 시간으로, 100% 성과를 낸다'는 '100-80-100'을 강조하며 생산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문 실장은 "주 4일제에 대한 직원 만족도는 93.5%을 기록했다. 주 4일제 시행 1년이 지난 시점에, 동기간 대비 채용 경쟁률은 3배 오르고 매출은 20% 상승했다"고 성과를 밝혔다. 문 실장은 "주 4일제를 온전히 시행하는 곳 많지 않다. 실제 주 4일제를 시행하다가 중단하거나 격주로 전환, 혹은 근무는 4일이지만 근무시간은 38시간에 달한다든지 하는 사례가 많았다. 때문에 휴넷은 온전한 4일제를 만들기 위해 매직 서베이(설문조사), 상시 서베이, 임직원 인터뷰, 익명 게시판 등을 통해 직원의 의견을 많이 들었다. 회사가 그런 직원들의 말을 진정성 있게 듣는 '리슨업'을 한 것이 만족도를 높인 것 같다. 내년에는 리슨업을 넘어 임직원이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의견을 내는 보이스업을 추구하려 한다"고 말했다.

휴넷은 지난 2016년부터 '행복경영'의 기업 확산을 위해 ‘행복한 경영대학’을 무료로 운영하고 있다. 지금까지 650개 기업의 CEO가 본 과정을 수료하고, 소속 기업에 행복경영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동문 기업들의 연평균 매출 성장률은 11%, 직원 수는 6%씩 증가하며 고용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 다수의 상장기업도 탄생하며, 실적과 기업문화를 두루 갖춘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행복경영 우수 기업 사례 발표자로 나선 화장품 전문기업 '씨엠에스랩' 이진수 대표(행복한 경영대학 1기)는 "직원 행복제도를 도입하고 '직원들이 행복하면 사업도 잘될까?'라는 가설을 성과로 증명하고 있다. 회사의 매출은 연평균 30% 이상 성장 중이다. 회사가 성장할수록 구성원들과 조직문화가 더욱 중요해짐을 실감한다"라고 전했다.

이어 채용 플랫폼 '오픈놀'의 권인택 대표(행복한 경영대학 4기)는 "CEO가 해줄 수 있는 최고의 복지는 직원들을 성장시키고 오래 다니고 싶은 회사를 만드는 거라 생각한다. 직원들이 회사에서 개인의 가치와 행복을 찾는다면, 회사는 반드시 성장한다고 믿는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행사는 행복경영의 시작이 됐던 메일링 서비스 '행복한 경영이야기(구독자수 220만명)'를 마무리하며 이를 기념하고자 마련됐다. '행복한 경영이야기'는 20년간(2003. 10 ~ 2023. 11) 3500여 권의 책에서 발췌된 명언 4775호가 발행됐다. 그 동안의 글을 모아 2023년 11월에 도서 '촌철활인(총 12권)'이 출간됐다.


이상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angho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