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스테이지엑스, 법인도 아직인데 '핑크빛 전망만'

공유
1

스테이지엑스, 법인도 아직인데 '핑크빛 전망만'

스테이지엑스 서비스 계획에 커지는 '우려'
정부 지원에도 탐탁지 않은 업계 시선
스테이지엑스 "아직은 설명하고 알리는 단계"

서상원 스테이지엑스 대표.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서상원 스테이지엑스 대표. 사진=뉴시스
제4이통사 출범을 준비 중인 스테이지엑스의 재무 건전성에 대한 의문 제기가 계속되고 있다. 또한 법인 설립도 전에 서비스에 대한 계획을 잇따라 발표하자,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핑크빛 전망'만 내세우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일 통신 업계에 따르면 제4이통사 스테이지엑스를 향한 우려의 시선이 끊이지 않는 모습이다. 스테이지엑스는 1일 28GHz 주파수를 기반으로 한 핫스팟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5G 데이터를 '시장 안착 전'까지 무료로 제공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와 함께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장소로 지하철과 공항, 공연장 등과 같은 인구 밀집 지역을 예시로 들었다. 하지만 편의시설이 집중된 서울 및 도심권 지역에서의 서비스 제공이 유력해 보이는 가운데 일부 사용자들에게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다는 지적도 잇따르고 있다.

이에 대해 스테이지엑스 측은 "서비스 제공에 용이한 장소 중 지하철, 공항, 공연장 등을 검토하고 있다. 지하철을 서비스 대상으로 확정 짓지는 않은 상황"이라며 "지역 또한 마찬가지다. 최대한 많은 고객들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다각도로 살펴보고 있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정식 서비스 론칭 후 3년 내 예상 가입자를 약 300만명이라고 전망한 것도 논란이 일고 있다. 이미 포화상태인 이동통신 시장에서 300만명이라는 숫자는 전체 5G 가입자 수의 1/10이다. 결코 적은 숫자가 아닌데다 아직 법인 설립도 되지 않은 상태여서 다분히 낙관적이고 추상적인 전망으로 보인다.

스테이지엑스 관계자는 "법인 설립에 앞서 자사 고객들을 위해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지 고민하면서 설명하고 알리는 단계라고 생각해 주시면 될 것 같다"며 "소비자들에게 차별화된 통신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올해 초 주파수 경매를 통해 정부에서 할당받은 28GHz 주파수는 이동통신 3사가 사용하는 3.5GHz에 비해 빠른 속도가 이점이지만 특성상 직진성이 강해 장애물이 많은 도심 지역에서의 활용성이 낮은 편이다. 전파 손실률이 높은 탓에 원활한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대량의 중계기 설치도 요구된다. 기지국 1대 당 구축 비용이 3000만원을 상회하며, 장비 구매 및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이 최소 2000억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스테이지엑스의 자금 조달 능력과 재무 건전성에 대한 의문이 이어지면서 앞서 제시한 계획과 목표 달성이 가능한 지에 대한 이야기가 끊이지 않는다. 신규 이동통신 사업자 진입이 허가제에서 등록제로 바뀌며 재무 건전성이 심사 대상에서 제외된 점도 한 몫 했다.
정부는 4000억원 규모의 정책적 지원을 통해 제4이통사의 시장 조기 안착을 돕겠다는 방침을 일찍이 밝혔지만 우려는 여전하다. 일각에서는 이미 알뜰폰 시장 확대와 이통 3사를 압박해 각종 통신비 지원 확대를 감행하고 있는 와중에 국민의 혈세를 들여 4이통사를 지원한다는 것은 알뜰폰 시장의 고사를 유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된다. 기존 정책에 반하는 결정이라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기업이 사업에 관한 청사진을 제시하고 계획을 발표하려면 어느 정도는 이를 뒷받침하는 통계, 혹은 사업적 검토의 근거를 함께 들 필요가 있다. 그런데 스테이지엑스 측은 무엇을 하겠다고는 말하고 있어도 어떻게 하겠다고는 말하지 않고 있어 통신 업계에서도 말이 나오고 있다"며 "이러한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서라도 스테이지엑스에서 신뢰할 수 있는 자료를 공개할 필요가 있지 않나"라는 의견을 비췄다.

스테이지엑스는 지난 1월 정부로부터 28GHz 주파수를 4301억원에 낙찰 받았다. 5월 4일까지 법인 등록을 마친 뒤 낙찰가의 10%에 해당하는 430억원을 납부하면 주파수 이용 권리를 얻게 된다. 사업은 1년 이내에 시작해야 한다는 조건이며 이를 이행하지 않을 시 주파수를 반납해야 한다.


편슬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yeonhaey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