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메타버스 개발전문가' 자격시험 9월부터 시행… 자격증 3종 제공

글로벌이코노믹

'메타버스 개발전문가' 자격시험 9월부터 시행… 자격증 3종 제공

서강대·정보통신진흥협회, 프로그래밍·그래픽·아키텍쳐 인재양성

이창희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상근부회장(왼쪽)과 현대원 서강대 학교 메타버스전문대학원장이 8일 서강대학교 삼성가브리엘관에서 '메타버스 개발전문가' 자격 공동 개발・시행 및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있다. 사진=서강대학교이미지 확대보기
이창희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상근부회장(왼쪽)과 현대원 서강대 학교 메타버스전문대학원장이 8일 서강대학교 삼성가브리엘관에서 '메타버스 개발전문가' 자격 공동 개발・시행 및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있다. 사진=서강대학교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디지털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메타버스 개발전문가 자격시험이 9월부터 시행된다.

국내 최초 메타버스전문대학원을 설립한 서강대학교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이 총 3가지 종목(프로그래밍, 그래픽, 아키텍쳐)의 자격증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와 서강대학교는 8일 서강대학교 삼성가브리엘관에서 '메타버스빌더' 자격 공동 개발・시행 및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서강대학교는 국내 최초로 2021년 10월 메타버스전문대학원을 설립하여 전문 인재를 양성 중이다.

이번 메타버스 개발전문가 자격시험은 기획・구성 단계부터 메타버스 분야의 산업계 및 학계와의 심도있는 논의를 통하여, 전문적인 역량 검증의 필요 사항을 반영하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만들어낸 성과물이다. 메타버스 산업 발전에 필요한 전문 인재의 양성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협약의 주요 내용은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디지털 전환 시대의 디지털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전문자격의 상호 협력 및 운영이다.

본 협약에 따라 서강대학교에서는 메타버스 개발전문가 자격시험의 세부 출제기준 및 분류체계 수립 등을 담당하고,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는 시험의 시행 및 운영, 제도 등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전담한다.

올해 9월에 시행 예정인 메타버스 개발전문가 자격시험은 메타버스 시장이 확장됨에 따라 해당 분야에 대한 능력을 전문적으로 검증하고자, 지난해부터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와 서강대학교 메타버스전문대학원이 추진해 온 것으로 총 3가지 종목(프로그래밍, 그래픽, 아키텍쳐)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4년 9월 메타버스 프로그래밍 준전문가 등급(객관식)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된다.

자격시험은 각 종목별 전문가 등급(작업식)과 준전문가 등급(객관식)으로 나뉜다. 기본적인 메타버스 개론, 유틸리티 및 그래픽 등 기획부터 개발까지 실무에 적용 가능한 내용으로 구성됐다.

특히 이번 자격에서는 메타버스 시장에서 대다수 활용되는 '유니티'와 '언리얼'을 활용하여, 수험자들이 원하는 개발 엔진으로 학습하고, 시험 볼 수 있도록 선택의 폭을 다양화 했다.

서강대학교 메타버스전문대학원 현대원 원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서강대 메타버스전문대학원의 인재양성 성과를 대학 학부 차원으로 공유 확산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인공지능의 인터페이스로 작동하게 될 메타버스의 경쟁력은 결국 인재 역량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이창희 상근부회장은 “협회는 디지털 경제 및 미래 성장동력을 선도하는 핵심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메타버스 역량을 검증할 수 있는 자격 검정 제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광복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