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그룹 맞춤형 AI '나나'·'카나', 맥락 파악해 일정·요약·추천
말투·성격 설정하는 성장형 AI… '맞춤 말투' 가능, 커스터마이징 강화
오픈AI 협업 기반 검색·로컬·쇼핑 등 AI 일상화 본격 시동
말투·성격 설정하는 성장형 AI… '맞춤 말투' 가능, 커스터마이징 강화
오픈AI 협업 기반 검색·로컬·쇼핑 등 AI 일상화 본격 시동

'카나나'는 카카오가 새롭게 선보이는 AI 메이트 기반 서비스로, 개인 및 그룹 대화방에서 이용자의 요청과 대화 흐름에 맞춰 정보를 제공하고 일상 업무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정기 업데이트는 약 3주 간격으로 이루어지며, 이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기능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서비스는 두 가지 메이트로 구성된다. 개인형 AI 메이트 '나나'는 개인 및 그룹 대화 모두에서 활동하며, 이용자의 정보를 학습해 맞춤형 답변을 제공한다. 그룹 메이트 '카나'는 동호회, 조별 과제, 가족방 등에서 대화 내용을 파악해 일정을 등록하거나 요약해주는 등 '서포터'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러닝 모임에서는 마라톤 일정을 등록하고 리마인드 알림을 보내며, 관련 코스를 추천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그룹 대화 중 '귓속말' 기능을 통해 '나나'와 1:1 대화를 나눌 수 있으며, 뒤늦게 참여한 이용자는 지난 대화를 요약해서 받아볼 수도 있다. 메이트의 성격과 말투는 설정에서 '친구 같은', '전문가 같은', '사춘기 같은' 등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직접 입력한 대화 스타일로도 설정이 가능하다.
김종한 카나나 성과리더는 "AI를 통해 사람 사이의 소통을 더욱 자연스럽고 의미 있게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이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할수록 고도화되는 성장형 서비스인 만큼, CBT기간 동안 각종 피드백을 적극 반영하여 완성도를 높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카카오측은 "현재 카나나는 앱의 초기 단계이며, 정식 출시 시 추가 기능이 있을 예정이다"며 "정식 출시 시점은 연내 목표이며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기능 개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카카오는 올해 '카나나'를 포함해 다양한 AI 기반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1분기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 'AI 메이트 쇼핑'에 이어, 'AI 메이트 로컬' 서비스를 연내 공개할 계획이다. 생성형 AI 기반 검색 서비스도 개발 중이며, 오픈AI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기술 고도화 및 카카오 생태계 전반의 AI 에이전트 연계를 추진 중이다. 현재 선착순으로 이용 가능하고 링크 공유를 통한 친구 초대가 가능하다.
-
김지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inmai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