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SK케미칼, ‘플라스틱 PCT’ 자동차 소재로 첫 상업화

글로벌이코노믹

SK케미칼, ‘플라스틱 PCT’ 자동차 소재로 첫 상업화

SK케미칼이 국내 최초로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PCT로 만든 차량용 커넥터를 선보였다. /SK케미칼 제공이미지 확대보기
SK케미칼이 국내 최초로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PCT로 만든 차량용 커넥터를 선보였다. /SK케미칼 제공
[글로벌이코노믹 유호승 기자] SK케미칼은 자체개발한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PCT를 자동차 소재로 첫 상업화했다고 30일 밝혔다.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공업용·구조재 재료 등으로 쓰이는 고강도·고내열의 플라스틱을 말한다.

SK케미칼은 플라스틱 PCT(폴리시크로 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소재가 국내 완성품 자동차 부품업체의 표준소재로 등록돼 올해 출시될 양산차의 차량용 커넥터에 적용한다.

SK케미칼이 지난 2012년 세계 두번째로 상업화에 성공한 PCT 소재 스카이퓨라가 차량용 커넥터 소재에 적용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존 차량용 커넥터에는 주로 PBT, PA 등의 소재가 사용됐다. 이를 대체해 PCT가 차량용 커넥터에 적용되는 것은 우수한 내열성과 전기적 특성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를 제조할 때는 납땜을 통해 플라스틱 회로 기판에 핀을 직접 접합하는 표면 실장 기술이 사용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온도는 230도 이상이다. PCT는 녹는 점이 285도 이상으로 내열도가 뛰어나 제품의 변형없이 안정적인 제조가 가능하다.

한태근 SK케미칼 EP사업팀장은 “세계적으로 연간 6만~7만t 규모로 추산되는 자동차 커넥터용 플라스틱 시장에서 3년 안에 시장의 5% 이상을 스카이퓨라로 대체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호승 기자 y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