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 혁신사업 수소·전지 담당 주력사로 부상
배터리 소재 후발주자 만회 위해 투자 적극적
배터리 소재 후발주자 만회 위해 투자 적극적
이미지 확대보기사실상 롯데케미칼의 역할이 커졌다. 현재 롯데케미칼은 수소에너지사업단을 신설해 해외 암모니아 확보 및 인프라 구축에 나선 상태다. 오는 2030년까지 총 120만t의 청정수소를 국내에 공급하고, SK가스와 함께 수소충전소 200개를 확보한다는 게 목표다. 아울러 그룹 자회사인 롯데정밀화학, 롯데알미늄과 함께 배터리 소재 밸류체인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에 따르면, 대산공장 내 전해액 유기용매 제품(EC·EMC·DMC·EMC) 생산 추진에 나선 데 이어 미국 스타트업 '소일렉트'와 합작사를 설립해 음극재 사업에 뛰어들었다. 업무협약(MOU)에 따라 2025년까지 미국 현지에 음극재 생산시설을 구축할 계획이다. 같은 해 양극박 생산 기지인 '롯데알미늄 머티리얼즈 USA'도 미 현지에 구축하기로 했다. 아울러 롯데정밀화학의 '솔루스첨단소재' 지분 투자로 음극박 사업에 우회 진출했다.
이미지 확대보기앞서 롯데는 국내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향후 5년간 △헬스 앤 웰니스(Health&Wellness) △모빌리티(Mobility)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부문을 포함해 화학·식품·인프라 등에서 총 37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투자 총액에서 4분의 1가량을 차지하는 9조원은 화학사업군에 배정했다. 그만큼 화학군이 그룹 내 위상이 높아졌다는 방증이다.
소미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nk2542@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