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통신 서비스 이용 B2G·B2B 시장 공략
가장 먼저 軍 저궤도 위성통신 네트워크 추진
항공기·선박·UAM 분야 서비스 추진 예정
가장 먼저 軍 저궤도 위성통신 네트워크 추진
항공기·선박·UAM 분야 서비스 추진 예정

한화시스템은 지난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기가통신사업자등록을 마쳤다고 11일 밝혔다. 한화시스템의 사업자 등록은 지난 6월 신청 이후 한 달여 만으로 기간통신사업자로 등록되면서 기업과 다른 이용자에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격을 획득하게 됐다.
한화시스템은 ‘회선설비 미보유 기간통신사업자로’로 자체 통신망 구축 없이 원웹 저궤도 통신망을 이용해 ‘우주 인터넷’ 서비스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한화시스템은 지난 2021년 지구 저궤도인 1200㎞ 고도에 통신위성을 띄워 초고속인터넷을 제공하는 기술을 보유한 영국 원웹에 3억 달러(약 3450억원)를 투자했다. 원웹은 지난 5월까지 총 634기의 저궤도 통신위성을 발사해 우주 인터넷망을 완성, 올해 말부터 글로벌 위성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국내 최고 군용 통신 역량을 보유한 한화시스템은 제일 먼저 군 저궤도 위성통신 네트워크 구축사업을 추진한다. 구축이 완료되면 초소형 SAR위성으로 탐지한 전장 상황 정보를 저궤도 위성통신과 지상망으로 실시간 공유해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한화시스템은 항공기·선박·기차·차량·UAM 기체 등에서 이용할 수 있는 B2B 통신 서비스에도 진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위성통신 안테나를 장착해 저궤도 위성으로부터 24시간 안정적인 '우주 인터넷'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전자식 빔 조향 안테나(ESA)' 분야에도 투자를 이어왔다. 지난 2020년 영국 페이저 솔루션을 인수해 반도체 기반 차세대 위성통신 안테나 기업인 한화 페이저(Hanwha Phasor)를 출범한 데 이어, 같은 해 미국의 위성통신 안테나 기술 선도기업 카이메타(Kymeta)에 투자한 바 있다.
이외에도 지상국을 거치지 않고 단말 간 직접 통신을 가능케 해 대용량 데이터를 지연 없이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첨단 디지털 통신 중계기(OBP), 위성 간 레이저 통신 시스템(ISL) 기술 개발에도 매진하고 있다.
김정호 한화시스템 항공·우주부문 사업대표는 "한화시스템은 독보적인 방산·통신·레이다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저궤도 위성통신 분야에 뛰어들어 '글로벌 초공간 네트워크' 기업으로 변화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군 저궤도 통신 네트워크를 빠르게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자신하고 있으며, UAM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위성IoT(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