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제주항공 매출 3698억, 영업익 231억…역대 최대

글로벌이코노믹

제주항공 매출 3698억, 영업익 231억…역대 최대

일본·동남아 위주 탄력적 노선 운영 주효
하반기 차세대 항공기 도입, 노선 다변화 계획
대한항공이 올해 1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제주항공 항공기.사진=제주항공이미지 확대보기
대한항공이 올해 1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제주항공 항공기.사진=제주항공
항공업계가 전통적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올해 1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으며, 지난해 4분기 코로나19이후 처음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한 이후 3분기 연속 흑자기조를 유지했다.

제주항공이 8일 공시한 올 상반기 별도 기준 잠정 영업실적에 따르면 2분기 매출액은 3698억원으로 전년 동기 1251억원 대비 195.6%,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2분기 3114억대비 18.8%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231억원으로 전년 동기 -550억원, 2019년 2분기 -277억 대비 흑자 전환했다.

이와 함께 올 상반기 누적 실적은 매출액 7921억, 영업이익 939억, 당기순이익 681억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84.7% 늘어난 상반기 매출액은 창립 이후 처음으로 7000억원대를 돌파했던 2019년 상반기 7026억보다 895억원 늘어난 수치이다.

제주항공은 이처럼 안정적인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는 주요 요인으로 ‘일본, 동남아 위주의 탄력적인 노선 운영’을 꼽았다.
제주항공은 8월 현재 기준 국적 LCC 중 가장 많은 37개 도시, 50개의 국제선, 6개의 국내선을 운항하고 있으며 전체 국제선 중 일본이 14개 노선(28.6%)으로 가장 많고 중화권이 13개 노선(26.5%), 필리핀이 6개 노선(12.2%), 베트남이 5개 노선(10.2%), 대양주가 4개 노선(8.2%)으로 뒤를 잇는다.

시장 상황과 수요에 맞춰 선제적 변화관리를 통해 탄력적인 노선 전략을 펼치며 리오프닝에 따른 펜트업(pent-up, 억눌렸던 소비가 늘어나는 현상) 수요를 흡수할 수 있었다.

제주항공은 하반기부터 차세대 항공기를 도입해 원가경쟁력을 강화하고 기단 확대를 통한 공급 확대와 노선 다변화에 집중한다.

차세대 항공기인 B737-8을 순차적으로 도입해 성수기 기간 항공기 가동률을 극대화하고 나아가 신규 목적지 발굴을 통해 노선 다변화에도 나선다는 계획이다.

또 직접 구매 형태의 기단 운용방식 변화를 통해 원가경쟁력 강화에도 나선다.

기존 운용리스 방식이었던 항공기 운용방식을 직접 구매 형태로 전환함으로써 임차료와 기재 정비비 등에서 고정 비용을 절감하고 차세대 항공기의 개선된 연료효율을 바탕으로 항공기 운용 비용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연료비 절감효과를 가져옴으로써 경쟁사 대비 압도적인 원가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항공업계 전통적 비수기임에도 선제적인 변화관리와 탄탄한 내부 수익 구조를 바탕으로 흑자기조를 이어나가고 있다”면서 “경쟁사 대비 월등한 원가경쟁력과 기재 확보를 통한 기단 경쟁력으로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털시스템 실시간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적 항공사의 일본, 필리핀, 대양주(괌/사이판) 노선 전체 수송객 수는 각각 771만1203명, 140만3137명, 55만1193명으로, 이중 제주항공이 일본 172만217명(22.3%), 필리핀 34만2822명(24.4%), 대양주(괌/사이판) 22만5516명(40.9%)을 수송해 전체 국적 항공사 중 수송실적 1위를 달성했다. <끝>


김보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amtollee123@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