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래전략실' 부활 등 삼성 지배구조 개편 작업 속도

글로벌이코노믹

'미래전략실' 부활 등 삼성 지배구조 개편 작업 속도

2017년 국정농단 사태 이후 사라진 미전실 부활 가능성 커져
중장기 사업 계획 및 M&A 추진으로 JY식 경영 체제 보여줘야
전문 경영인 감독 체제 등 지배 구조 개편에도 속도 날 전망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부당 합병·회계 부정 혐의 사건 1심 선고를 하루 앞둔 지난 4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 걸린 삼성 깃발이 바람에 휘날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부당 합병·회계 부정 혐의 사건 1심 선고를 하루 앞둔 지난 4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 걸린 삼성 깃발이 바람에 휘날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경영활동에 발목을 잡았던 사업 리스크가 해소되는 모습이다. 이에 '뉴 삼성'의 기틀을 닦을 미래전략실(미전실) 복구 등 컨트롤타워 설립을 비롯해 지배구조 개편에도 속도가 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회장 취임 3년차를 맞은 이 회장의 앞으로 행보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5일 서울중앙지법 형사25-2부는 자본시장법 위반·배임 등의 혐의로 기소된 이 회장에게 "이 사건 공소 사실 모두 범죄의 증명이 없다"며 무죄를 선고했다. 지난 3년5개월간 이 회장 경영활동의 발목을 잡았던 사업 리스크가 일단락된 것이다.

이에 따라 그룹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미전실 부활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미전실은 지난 2017년 국정농단 여파로 공식 해체됐다. 현재 삼성전자(사업지원), 삼성물산(설계·조달·시공), 삼성생명(금융 경쟁력 강화)으로 흩어져 태스크포스(TF)팀 형태로 유지되고 있다. SK그룹의 경우 수펙스추구협의회를 운영하며 그룹 내 굵직굵직한 사업들에 대해 논의하고 결정을 내려 왔다.

이렇다 보니 삼성은 다른 기업과 비교해 컨트롤타워 기능이 크게 약해졌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미래 사업을 책임질 대규모 인수합병이나 중장기 전략 등을 세우기 어려운 환경이 지속됐다는 것이다. 지난 2017년 이 회장이 직접 주도한 하만을 끝으로 삼성의 대규모 인수합병이 멈춘 것이 대표적이다.
삼성준법감시위원회(준법위)에서도 삼성의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공감하고 있다. 이찬희 위원장은 "작은 돛단배에는 컨트롤타워가 필요 없지만, 삼성은 어마어마하게 큰 항공모함"이라고 말하며 컨트롤타워의 필요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지배구조 개편 작업에도 속도가 날 전망이다. 삼성은 이미 이 회장이 법적 구속에서 완전히 벗어난 직후부터 지배구조 개편을 위한 작업을 진행해 왔다. 지난 2022년 상반기 글로벌 컨설팅 업체 보스턴컨설팅그룹(BCG)에 연구 용역을 발주해 보고서를 받아 놓았으며 이후에도 준법위를 비롯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접수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는 삼성이, 전문경영인이 경영을 담당하고 오너 일가는 이사회에 참가해 전문경영인을 감독하는 체제로 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이를 위해 삼성은 스웨덴 발렌베리와 미국 포드 등 글로벌 기업의 사례를 벤치마킹하며 연구를 거듭하고 있다. 재계 한 관계자는 "결국 삼성의 지배구조 개편은 이 부회장의 의지에 달린 것으로 봐야 한다"면서 "회장 승진 후 이 부회장이 삼성을 위해 어떤 역할을 담당하느냐에 따라 향후 삼성의 미래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