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DX기술 혼합한 스마트팩토리…LG 생산기술원, 고객맞춤 솔루션 제시

평택에 위치한 LG전자 생산기술원에서 연구하고 있는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의 모습이다. LG전자는 인공지능(AI) 기술과 디지털전환(DX) 기술을 혼합해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진일보 시키고 있다. 고객이 원하는 맞춤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함으로써 2030년 조단위로 사업을 키워 나가겠다는 구상이다.
LG전자의 이 같은 구상의 핵심에는 평택에 위치한 LG전자 생산기술원이 자리하고 있다. 18일 찾은 LG전자 생산기술원은 스마트팩토리확산센터(SFAC)를 두 구역으로 나눠 LG전자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체험할 수 있었다.
AI 기술을 활용한 A 구역은 실제 공장을 가상으로 옮겨놓은 ‘디지털트윈’ 기술이 눈에 들어왔다. 화면을 몇 번 클릭하자 가상의 공장이 새로운 물류 방식으로 바뀌고 ‘드래그앤드롭(Drag&Drop)’만으로 생산 시스템을 재설계하고 공장 운영 방식을 바꿀 수 있다.
이 같은 솔루션의 핵심에는 AI가 있다. 정대화 생산기술원장(사장)은 LG AI연구원의 엑사원이 사용되고 있냐는 질문에 "엑사원 뿐만 아니라 다양한 AI를 사용하고 있다"면서 "고객이 원하는 방향으로 맞춤 컨설팅을 해나가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LG전자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이를 맞춤형으로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 사장은 "내외부의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는 우리의 장점"이라면서 "모든 사항은 고객의 요청의 따라 결정될 수 있다"고 자신했다. LG전자만의 차별점으로 고객맞춤을 내세운 것이다.

스마트솔루션은 로봇을 이용한 생산 자동화도 앞당길 수 있다. 생산기술원은 B구역에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로봇솔루션을 선보였다. 원하는 물건을 잡고 이동할 수 있는 다관절 로봇팔부터 자율주행으로 물건을 이동시킬 수 있는 AMR까지 로봇기술을 카메라와 연계해 기존과는 다른 한차원 진보된 기술을 공개했다.
송신웅 책임은 "로봇 자체에 중점을 두기보다 로봇에다가 AI 기반의 요소 기술들을 어떻게 넣어서 더 쉽고 더 편하게 쓸 수 있게 할까를 더 고민하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이는 결국 LG전자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이 AI와의 결합으로 한층 진화된 모습을 추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LG전자는 이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더욱 키워나간다는 전략이다. 정 사장은 "올해 수주는 3000억원, 매출은 2000억원을 예상하고 있다"면서 "북미지역과 아시아 일부가 현재 주요 고객사"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이나 미국의 인력난이 심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객들이 많이 찾고 있다"고 덧붙였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