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IRA 폐지' 주장…보조금 줄거나 폐지될 듯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조 바이든 행정부의 2030년 신차 판매 50%를 전기차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바탕으로 전기차 전환에 힘을 쏟았다. 하지만 이런 정책이 11월 있을 미국 대선을 계기로 무산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간 친환경 에너지보다 석유 등 화석연료를 선호하는 모습을 보여왔던 트럼프가 재집권하면 같은 기저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트럼프는 당선 시 전기차뿐 아니라 모든 수입품에 1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산 제품에 대해서는 최소 60% 이상의 관세를 매기겠다고 공약했다. 기본 관세를 도입할 때 우리나라도 자동차, 부품 등을 미국으로 수출할 때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바이든 정부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충족하기 위해 조지아주에 지은 전기차 전용 공장도 사실상 올해 말 완공되고 나면 쓸모가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하이브리드 등 내연기관과 혼류생산하는 방식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미국에서 생산된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지급하겠다는 바이든 정부의 정책에 따라 지은 조지아공장이다. 하지만, 트럼프가 승기를 쥔다면 보조금 폐지와 동시에 전기차 판매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트럼프가 당선된다면 현대차는 미국에서 전기차 보조금 한 번 받아보지 못하고 공장을 가동하게 된다.
다만 내연기관 공장의 가동률을 높이며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현대차그룹은 조지아의 기아공장과 엘라바마의 현대차 공장 등에서 투싼, 스포티지, 쏘렌토, 싼타페, 텔루라이드 등을 생산하고 있다. 해당모델들은 현지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볼륨모델에 해당한다. 이에 일정 부분 정책 변화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미국 대선이 끝나지 않았고, 다양한 시나리오가 거론되는 만큼 현대차그룹 역시 정책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고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노력 중인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