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규제 불확실성, 대미 투자 발목
국내 안전 규제 강화…기업 부담 가중
국내 안전 규제 강화…기업 부담 가중

16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4일(현지 시각)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합작해 건설 중인 조지아 HL-GA 배터리 공장에서 한국인 기술자 300여 명이 구금되는 사건은 재계에 큰 충격을 안겼다.
이재명 대통령도 "이번 사태가 기업들의 대미 투자 의지를 꺾을 수 있다"고 언급할 정도로 파장이 컸다. 업계에선 △전기차 △배터리 △반도체 등 첨단 산업의 미국 투자가 필수적인 상황에서 안정성을 흔드는 변수가 늘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내 환경도 만만치 않다. 고용노동부는 전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동일 사업장에서 연간 3명 이상 사망 사고가 발생한 기업에 영업이익의 최대 5%를 과징금으로 부과하고, 적자 기업에도 최소 30억 원을 적용하는 '노동안전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다만 해당 제도는 국회 입법 절차를 거쳐야 해 확정된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기업들은 해외 규제와 국내 규제를 동시에 떠안게 됐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리스크 관리 전담 조직을 강화하고, 현지 로펌·컨설팅사와의 협력을 확대하는 등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다. 노무·비자 문제 예방을 위한 인력 관리 시스템 정비, 산업안전 컨설턴트 영입도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사후 책임 추궁이 아니라 사전 예방 투자가 기업 경쟁력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한다.
황용식 세종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중요한 것은 이런 규제가 글로벌 경쟁력에 도움이 되는지를 따져보고 균형을 맞추는 것"이라면서 "정부는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규제 강화가 국내외 기업들의 투자 확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에도 투자 유치와 일자리 창출이 절실한 만큼 상법 개정안, 노란봉투법 등 기업 활동의 운신 폭을 줄이는 규제가 겹친다면 '기업하기 어려운 나라'라는 인식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