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AI 시대 해킹 막을 강력한 규제 필요하다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AI 시대 해킹 막을 강력한 규제 필요하다

가입자 유심(USIM) 정보를 탈취당한 SK텔레콤이 유심 무료교체 서비스를 시작한 지 이틀째인 29일 서울 시내 한 SKT 대리점에 시민들이 줄을 서서 교체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가입자 유심(USIM) 정보를 탈취당한 SK텔레콤이 유심 무료교체 서비스를 시작한 지 이틀째인 29일 서울 시내 한 SKT 대리점에 시민들이 줄을 서서 교체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SK텔레콤 유심 해킹 공포증이 일파만파다. 주요 기업이 SK텔레콤 전화기를 쓰는 직원에게 유심 교체 지시를 내리는가 하면 자체 보안 강화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스마트폰으로 회사 업무를 처리하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서다. 개인들도 노심초사하기는 마찬가지다. 유심 관련 정보로 복제 스마트폰을 만들어 휴대전화 본인인증을 우회한 부정 금융거래에 노출될 수 있어서다.

SK텔레콤은 고객 주소나 주민등록번호 유출은 물론 악용 사례도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지난 18일 해킹 정황을 인지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관련 사실을 신고한 게 45시간 만이다.

해킹 사고가 나면 24시간 안에 신고하도록 한 규정 위반이다. 유심 교체를 위해 긴 줄을 서야만 하는 가입자들이 집단소송을 준비하는 등 실력 행사에 나선 이유다. 앞으로 단말기유통법(단통법) 폐지와 맞물려 SK텔레콤이 위기를 맞을 수 있는 상황이다.
더 큰 문제는 국내 인공지능(AI) 관련 기업들에 미칠 파장이다. AI 서비스는 개인정보 유출 우려에 특히 민감하다. 해킹 사고를 조기에 대응하고 해결하지 못하면 신뢰 추락으로 인한 사회 혼란을 피하기 힘들다.

AI 관련 기업이 신뢰를 잃으면 투자 유치는 물론 사업 기반을 유지하기도 어렵다. SK텔레콤의 경우 2300만 가입자의 유심을 교체하려면 약 700억 원의 비용이 든다.

해킹 사고는 2년 전 LG유플러스에서도 발생했다. 앞으로 제2, 제3의 사고는 언제든 나올 수 있다. 국내 AI 기업들은 이용자 보호보다 기술 개발과 외형 확대에만 주력하는 단계다.

기업은 해킹 사고 원인을 입증해야 할 책임도 없다. 이번 사고를 국내 AI 산업 전반의 보안 역량을 재정비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큰 이유다. AI 해킹 기술은 가짜 뉴스 생산에도 사용되고 있다.

정부가 나서서 AI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법률 제정 등을 통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