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 정부 초기마다 금융사가 긴장하는 이유는 ‘상생 역할론’ 때문이다. 주요 정책 추진 시 은행을 비롯해 보험사·카드사가 재원 마련의 축이 된 지 수 해가 지났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종식되면 끝날 줄 알았던 경기 둔화가 여전히 이어지면서 이번 정부는 배드뱅크 사업을 추진한다. 이는 부실 자산이나 채권을 할인 매입해 정리하는 기관인데, 설립과 운영에 8000억 원 규모가 소요될 것으로 시장은 추산했다. 금융사가 책임질 몫은 절반인 4000억 원, 이 중 2000억 원은 은행이, 나머지는 2금융권 등이 분담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출연이 커지는데 수익성 여건은 좋아지느냐 묻는다면 그렇지도 않다. 정부는 올해 세제개편을 통해 금융·보험사의 교육세를 수익액 1조 원 초과 구간에 대해 현 0.5%에서 1.0%로 인상하기로 했다. 당초 ‘연결성 부족’으로 교육세 폐지를 주장해왔던 금융사 입장에선 혹 떼려다 혹 붙인 꼴이다.
내부적으로는 노란봉투법이 난관이다. 이르면 이달 국회 문턱을 넘을 것으로 보이는 이 법안은 간접·특수고용 노동자의 단체교섭권을 강조하고 사용자 책임을 더 묻는다. 이 때문에 비정규직 확대도 어려워질 전망이다. 고용 안정을 이유로 한 일부 노조 파업에도 대응이 제한된다.
수익성이 우선이냐, 상생이 우선이냐는 논의가 마치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식으로 치부돼 유감이다. 상생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사업을 다 제치고 우선순위로 설정해야 하는 대상인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금융사는 무조건 매 맞는 회사’라는 인식에서 조금만 벗어나면 답은 의외로 쉽게 보인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