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6월과 7월 미국 회사채 시장에 추가 유입된 자금만 230억 달러 규모다. 7월에 유입된 130억 달러는 2015년 이후 최대 순매수 기록이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재정적자로 인해 국채금리는 상승세인 데 반해 실적 호조인 기업의 채무상환 위험이 줄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향후 10년간 3조4000억 달러의 추가 재정적자를 예상한 트럼프의 관세 정책 영향도 받는 모양새다.
이른바 재정위기 상황에서 국채 수익률보다 개별 기업의 재무 건전성에 더 주목한다는 의미다.
기업들이 국채보다 더 나은 투자처로 평가받기 시작했다는 블룸버그의 보도도 이와 맥을 같이한다.
한국의 회사채 발행 규모도 늘고 있다. 올해 들어 7월 말까지 발행한 회사채는 169조1335억 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조7829억 원(10.3%) 늘어난 규모다.
이미 상반기 기준 회사채 발행 규모도 역대 최대 기록을 세웠다.
물론 투자자들이 회사채에 관심을 보이는 이유 중에는 미국의 9월 금리인하 기대도 있다.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 실적을 보면 7월 중 주식·회사채 공모 발행액은 28조2484억 원이다. 한 달 새 4조2943억 원(17.9%) 늘어난 규모다.
석유화학 기업들이 차환 목적의 회사채 발행을 늘리면 올해 역대 최대 기록을 세울 수도 있다. 문제는 기업들의 회사채 발행 목적이 시설 투자보다 채무 상환용이란 점이다.
7월까지 일반회사채 발행액 중 81.7%는 차환 목적이다. 반면 시설 투자 목적 발행액은 1조352억 원으로 같은 기간 1조8628억 원(64.3%)이나 감소했다.
투자전략을 세심하게 수립해야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