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에너지 공기업 넘어 수자원·철도 공기업도 'ESG 경영' 바람

글로벌이코노믹

부동산·공기업

공유
3

에너지 공기업 넘어 수자원·철도 공기업도 'ESG 경영' 바람

올해 초 남부발전 등 발전공기업 이어 수자원공사·한국철도도 ESG 채권 발행
한전 ESG 위원회 신설 이어 농어촌공사도 농어업 분야 ESG 경영 본격화 선언

한국수자원공사 박재현 사장(왼쪽)과 노철민 노조위원장이 16일 과천에서 기후변화 인플루언스들과 함께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토크콘서트를 개최하고 ESG 경영을 선포했다. 사진=한국수자원공사 이미지 확대보기
한국수자원공사 박재현 사장(왼쪽)과 노철민 노조위원장이 16일 과천에서 기후변화 인플루언스들과 함께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토크콘서트를 개최하고 ESG 경영을 선포했다. 사진=한국수자원공사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바람이 한국전력 등 에너지 공기업을 넘어 철도, 농어촌, 수자원 등 공기업 전체로 확산되고 있는 모습이다.

발전공기업 이어 수자원공사·한국철도도 ESG 채권 발행


21일 한국수자원공사에 따르면, 수자원공사는 지난 12일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립은행(LBBW)으로부터 500억 원 규모의 투자자금을 유치해 ESG 채권 발행에 성공했다.

ESG 채권은 환경(Environment), 사회(Society), 지배구조(Governance)와 관련된 투자에 한정해 사용되는 채권으로, 이번에 수자원공사가 발행한 채권은 환경 분야에 사용되는 녹색채권이다.

만기는 2024년 3월로, 금리는 시중금리 대비 0.1% 포인트 낮다고 수자원공사는 설명했다.

수자원공사는 이 유치자금을 물환경 개선을 위한 상수도 노후관 개량과 확충 등의 재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며, 올해 총 3000억 원 규모의 녹색채권을 추가로 발행할 계획이다.

앞서 수자원공사는 지난 16일 기후위기시대 물안전·물복지를 위한 '물특화 ESG 경영'을 선보했다.

수자원공사 박재현 사장은 "이번 녹색채권 발행은 기후위기시대의 ESG 경영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 가능성을 투자자로부터 인정받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철도(코레일) 역시 이달 말 약 3000억 원 규모의 ESG 채권을 발행해 ESG 경영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한국철도는 ESG 채권 중 녹색채권을 발행해 전기철도차량 구매, 신재생에너지, 환경정화사업 등에 투자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한국철도는 현재 외부 전문기관으로부터 ESG 채권 발행 기준 충족을 위한 인증을 추진 중이며, 지난 2018년 네덜란드 채권전문평가사 서스테이널리스틱스로부터 국제 인증을 받았다.

한국농어촌공사는 지난 16일 '농어촌애(愛) 그린(Green) 가치 2030' 비전 선포식을 갖고 농업분야의 ESG 경영을 선언했다.

부문별로, 농어촌공사는 환경부문에서 오는 2030년까지 농어촌 분야 온실가스 264만t 감축을 목표로 재생에너지사업을 확대하고 벼재배 물관리 방식 개선으로 농업 온실가스 저감노력을 확대할 방침이다.

사회부문에서 저소득 농업인을 위한 시설물 협동조합 설립 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배구조 부문에서는 부패방지 경영시스템 구축과 대국민 소통채널 120개를 구축해 농어민과 함께 만드는 공영기업을 실현한다는 방침이다.

농어촌공사도 농어업 분야 ESG 경영 본격화 선언...녹색채권 발행 늘 듯


앞서 한전은 지난 1월 이사회 산하에 'ESG위원회'를 설립하고 첫 ESG위원회 회의를 열었다.

한국남부발전은 같은 달 남부발전의 첫 외화 녹색채권인 5000억 원 규모의 ESG 채권을 발행했고, 한국남동발전도 3000억 원 규모의 녹색채권 발행을 추진하는 등 올해 초부터 발전 공기업들도 ESG 경영을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ESG 경영은 UN이 주도해 기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업그레이드한 개념으로, 세계적으로 ESG 관련 펀드가 빠르게 성장하는 등 새로운 경영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공기업 관계자는 "최근 ESG 경영이 화두가 되면서 여러 기업의 ESG 채권 발행이 증가하고 있으나, 지난해 ESG 채권 발행 규모는 59조 원 규모로 아직 크지 않다"며 "글로벌 기후위기 시대에 향후 녹색채권 발행 등 ESG 경영을 위한 행보가 재계는 물론 공기업계에서도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