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강남·용산·강서 원룸은 보증금 2억 돌파
아파트 전세금 상승, 비(非)아파트에도 영향
아파트 전세금 상승, 비(非)아파트에도 영향

4일 부동산정보 플랫폼 ‘다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등록된 6월 서울의 연립·다세대, 단독·다가구주택 전세 거래를 분석한 결과 전용면적 30㎡ 이하 원룸의 평균 보증금은 1억6883만 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3% 상승한 수치다.
원룸 평균 전세보증금이 2억 원을 넘긴 서울 자치구는 서초구(2억6721만 원)와 강남구(2억4483만 원), 용산구(2억726만 원), 강서구(2억715만 원) 등 4곳으로 조사됐다. 양천구(1억9985만 원)와 송파구(1억9693만 원)의 원룸 전세 보증금도 2억 원에 육박했다.
전세보증금이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곳은 강북구(9821만 원)로 1년 새 45.9% 상승했다. 이어 금천구(1억7275만 원·26.7% ↑)와 성북구(1억5257만 원·25.6% ↑), 구로구(1억6824만원·22%↑) 순으로 나타났다. 강북구는 수유·미아동, 금천구는 시흥·독산동 등을 중심으로 들어선 신축 빌라 거래가 전세금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원룸과 수요층이 비슷한 전용 30㎡ 이하 오피스텔의 평균 전세 보증금도 1억7976만 원으로 1년 전보다 7.2%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분리형 또는 투룸 오피스텔이 중심인 전용 30~45㎡도 2억4731만원으로 10.3% 상승했다.
오피스텔 전세보증금이 가장 높은 자치구는 양천구(3억5378만 원)로 전년보다 10.3% 올랐다. 목동 고가 오피스텔에서 전세 거래가 여러 건 이뤄진 영향으로 보인다. 용산구(2억9381만 원)와 광진구(2억6848만 원), 강남구(2억6588만 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다방 관계자는 “임대인의 월세 선호 현상으로 전세 물건이 귀해진 데다 아파트 임대 시세가 오르면서 비아파트 임대 시세도 덩달아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하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