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신한투자증권, 증권형 토큰에 관심 갖는 이유는?

글로벌이코노믹

신한투자증권, 증권형 토큰에 관심 갖는 이유는?

조각투자 가능하고 여타 디지털 자산보다 리스크 적어
신한투자증권 사옥. 사진=곽호성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신한투자증권 사옥. 사진=곽호성 기자
신한투자증권이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 플랫폼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기능 검증(PoC)을 시작했다. 지난 7월에는 블록체인부(블록체인 관련 사업 전담 조직)를 출범시키기도 했다. 금융투자업계 인사들은 신한투자증권의 디지털 자산 관련 움직임을 주시하면서 앞으로 국내 증권사들이 디지털 자산 관련 사업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신한투자증권이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 플랫폼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기능 검증(PoC)을 시작했다. 증권형 토큰은 기업이 암호화폐 형태로 발행한 증권이다. 증권형 토큰을 발행할 때 블록체인 기술이 쓰인다.

증권형 토큰을 활용하면 부동산, 주식 등의 자산을 분할 소유(조각투자)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투자자가 적은 돈으로도 투자할 수 있다. 또 전통적인 증권보다 발행 비용이 적고 실물 가치에 근거를 두고 있으므로 다른 디지털 자산에 비해 리스크가 작다.

증권형 토큰은 대표적인 가상화폐인 비트코인과는 다르다. 비트코인은 지불형 코인이다. 지불형 코인이란 결제, 송금 등에 활용되는 코인이다. 가상화폐 전문가들은 증권형 토큰이 앞으로 가상화폐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김덕태 고등지능원 대표는 “증권형 토큰이 주역이 되는 이유는 수익성과 수익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선 기존에 검증된 증권 개념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어떤 기초자산이든 토큰 형태로 바꿀 수 있는 플랫폼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기능 검증을 하면서 블록체인 인프라 구축, 디지털 월렛(지갑) 설계, 토큰 발행/청약/유통, 기존 금융시스템과의 연동 등 증권형 토큰 관련 기술을 내재화할 예정이다.

신한투자증권은 블록체인 인프라를 먼저 준비해 디지털 경쟁력을 높이고 디지털 자산이 건전한 금융자산으로 자리 잡는 것에 기여하겠다는 취지를 갖고 있다.

아울러 신한투자증권은 디지털 자산 사업에 힘을 더할 계획이다. 증권형 토큰 플랫폼 구축 사전 태스크포스(TF)를 만든다. 상품, 예탁, 결제, 법무 전문가 등이 관련 제도와 해외 사례를 참고해 내부 시스템을 설계할 예정이다.

신한투자증권은 지난 7월 블록체인 관련 사업 전담 조직인 블록체인부도 출범시켰다. 증권형 토큰 등 블록체인 기반 신규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 앞으로 유망 기업들과 여러 실험을 늘려가기로 했다.

금융투자업계에선 신한투자증권이 증권형 토큰과 블록체인에 관심을 갖는 이유에 대해 앞으로 증권형 토큰과 블록체인이 상당히 주목을 받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미리 대비하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신한투자증권 관계자는 “글로벌 디지털자산 업계가 기존 암호화폐에서 증권형 코인으로 무게중심을 이동하고 있다"며 "국내 관련업계가 해외에 비해 디지털자산 경쟁력이 뒤쳐져 있어 빠른 실행이 급선무"라고 밝혔다.


곽호성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luckykhs@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