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이지스자산운용 ‘펀드 투자한 獨오피스빌딩’ 매각 나서

글로벌이코노믹

이지스자산운용 ‘펀드 투자한 獨오피스빌딩’ 매각 나서

글로벌 부동산 경기 상황 고려시 해당 건물이 펀드 설정 당시보다 싼 값에 처분 가능성 커 투자자 피해 우려
이지스자산운용이 자사 펀드의 수익성 추가 악화를 막고자 투자 대상인 독일 오피스 건물 매각에 나선다.  자사 홈페이지에는 이지스글로벌부동산투자신탁229호의 리스크 현황과 조치사항을 설명하는 공지글도 올렸다.  사진=이지스자산운용 사옥 이미지 확대보기
이지스자산운용이 자사 펀드의 수익성 추가 악화를 막고자 투자 대상인 독일 오피스 건물 매각에 나선다. 자사 홈페이지에는 이지스글로벌부동산투자신탁229호의 리스크 현황과 조치사항을 설명하는 공지글도 올렸다. 사진=이지스자산운용 사옥
이지스자산운용이 자사 펀드의 수익성 추가 악화를 막고자 투자 대상인 독일 오피스 건물 매각에 나선다.

17일 이지스자산운용은 자사 홈페이지에 이지스글로벌부동산투자신탁229호의 리스크 현황과 조치사항을 설명하는 공지글을 띄우며 이같이 설명했다.

이 펀드의 수익성에 경고등이 켜진 건 투자 대상인 독일 트리아논 오피스 건물의 주요 임차인 데카방크가 임대차계약 연장 옵션을 행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임대차계약은 오는 2024년 6월 만료된다.

데카방크는 해당 펀드가 자산 임대료 비중의 절반 이상을 차지해왔다.
이에 이지스운용은 신규 임차인을 유치하는 데 주력, 유치 비용 확보를 위해 국내 기관을 통한 추가 출자 업무도 진행해왔다.

현재까지 약 130개 잠재 대주단에 리파이낸싱 관련 문의를 넣었다. 이중 다섯 곳이 메자닌(중순위) 대출 등을 통한 리파이낸싱에 관심을 보였다.

이지스운용은 공지에서 "(관심을 표한) 5개 대주 중 추가 논의를 이어가는 일부 대주는 약정의 필수적 전제 조건으로 자산 소유주의 자본금 추가 납입을 요청해 추가 자본금 마련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최근 국내외 시장 상황 때문에 자금의 원활한 모집이 쉽지 않다" 며 "대주단이 요구하는 수준의 충분한 자금 모집에 실패시 (해당 펀드의) 자산 안정화가 용이치 않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경우 내부 위원회의 심의·의결을 통해 트리아논 오피스에 대한 임의 매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더 나아가 "임의 매각 절차 실패시 워크아웃 혹은 대주 담보권 행사에 따른 강제매각 가능성이 있다"며 "이때 자산의 추가적 가치 하락과 매각 절차 지연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선 현재 글로벌 부동산 경기 등을 고려시 해당 건물을 매각할 경우 펀드 설정 당시보다 싼 값에 처분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한다.

이 경우 투자자들의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해당 펀드의 규모는 총 3700억원으로 애초 공모펀드(1865억원)와 사모펀드(1835억원)로 나뉘어 자금이 모집됐다. 사모펀드의 주요 투자자로는 하나증권과 키움그룹 등이 있다. 공모펀드는 KB국민은행·대신증권·한국투자증권 등을 통해 판매됐다.


김희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euyil@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