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중 자원 전쟁에 분주한 기업들…광물 ETF도 옥석 가리기

공유
1

미·중 자원 전쟁에 분주한 기업들…광물 ETF도 옥석 가리기

희토류-에너지-밸류체인 등 투자 대상 다변화

제니퍼 그랜홈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중국이 희토류를 포함한 중요 광물과 관련해 글로벌 공급망을 장악하고 있는 것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진은 2022년 5월 5일(현지 시간) 상원 청문회에 출석한 그랜홈 장관의 모습.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제니퍼 그랜홈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중국이 희토류를 포함한 중요 광물과 관련해 글로벌 공급망을 장악하고 있는 것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진은 2022년 5월 5일(현지 시간) 상원 청문회에 출석한 그랜홈 장관의 모습. 사진=뉴시스
미국과 중국의 자원 전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기업이나 투자자 모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광물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시장도 다양한 기초자산을 편입하고 있는 만큼 옥석 가리기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2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해외우려기업(FEOC·Foreign Entity of Concern) 세부 지침을 발표했다. 오는 2025년부터 전기차 배터리에 들어가는 핵심 광물을 FEOC에서 조달하면 보조금을 받을 수 없다. FEOC는 중국·러시아·북한·이란 등 정부의 소유 및 통제, 관할에 있거나 이들 정부의 지시를 받는 기업으로 규정됐다.
배터리 핵심 광물은 리튬 이외에 니켈·코발트 등 희토류다. 희토류는 배터리뿐만 아니라 최첨단 기술 등에 활용되는 만큼 미래에 중요한 전략 자원으로 꼽힌다.

최근 제니퍼 그랜홈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중국이 희토류 등 주요 광물 공급망을 지배하는 상황에 대해 "매우 우려스럽다"는 입장을 밝혔다. 희토류 매장량은 중국이 35%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공급량으로 따지면 90%에 달한다.

미국은 지난 9일(현지 시간) 중국의 자원 무기화에 대응하기 위해 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투르크메니스탄·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5개국과 핵심 광물 공급망 관련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협의체를 출범했다. 또 캐나다와 호주 등 동맹국과 광물 협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미국은 '오일쇼크' 이후 에너지 및 자원 안보를 강화해왔다. 석유에 이어 광물자원을 특정 국가에 의존하는 데서 벗어나겠다는 의지를 엿볼 수 있다.

현재 희토류 가격은 전기자동차 및 배터리 수요 둔화로 지난해 하반기 크게 하락했다. 현재 상황을 고려하면 자원개발업체들은 낮은 수익성 탓에 희토류 개발에 적극 뛰어들 가능성은 낮다. 그러나 산업 발전과 함께 수요가 증가하면 희토류 가격은 자연스럽게 오른다.

따라서 자원 개발 초기에는 광물을 활용한 배터리 생산 등 업체들에 유리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광산-제련-생산 등 밸류체인을 보유한 기업 가치가 높아지게 된다. 중장기적으로는 자원 공급망이 안정돼 산업 전반의 이익 개선도 기대된다.
한화자산운용의 'ARIRANG 글로벌희토류전략자원기업MV' 희토류와 전략자원을 생산·정제·재활용하는 글로벌 핵심 기업 20종목에 집중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다. 이 상품은 지난 2022년 상장 이후 줄곧 하락해 현재는 반토막 넘게 났다. 과거 수익률 측면에서 상당히 부진하지만 희토류 개발이 본격화되면 분위기는 완전히 반전될 수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이 내놓은 'TIGER 글로벌자원생산기업(합성H)'은 'MorningStar Global Upstream Resources Index(PR)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다. 지난 2017년 상장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공급망 이슈 등으로 크게 올랐다. 이후 고점 대비 약 20% 정도 하락해 횡보하고 있다. 소재뿐만 아니라 에너지 비중도 높아 향후 미국과 중국 간 힘겨루기 상황에서 계속 주목을 받을 수 있는 ETF다.

KB자산운용의 'KBSTAR 배터리 리사이클링iSelect'는 상품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배터리 핵심 광물 공급 부족을 채우기 위한 재활용 관련 종목에 투자한다. 앞서 언급한 ETF와 다르게 에코프로 등 국내 기업들만으로 구성돼 있다. 자원 공급망 다변화에 이어 미국의 중국에 대한 제재가 강해질수록 국내 배터리 업체들이 혜택을 입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이성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lsk1106@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