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커버드콜 ETF '전성시대'…전년 대비 3배 급성장

공유
0

커버드콜 ETF '전성시대'…전년 대비 3배 급성장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 '커버드콜 ETF' 바람이 불고 있다.  사진=한국거래소이미지 확대보기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 '커버드콜 ETF' 바람이 불고 있다. 사진=한국거래소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 '커버드콜 ETF' 바람이 불고 있다.

26일 한국거래소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이번 달 22일까지 커버드콜 ETF의 개인투자자 순매수액은 약 1조137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상품 순매수액의 3배 규모에 가깝다.

작년 한 해 동안의 개인투자자 순매수액은 4186억원이다. 올해 5개월 동안 커버드콜 ETF에 유입된 개인 자금이 벌써 작년의 2.72배 규모가 된 것이다.

커버드콜 ETF의 인기 비결은 '안정적으로 높은 배당금을 준다'는 장점 때문이다.

이에 따라 커버드콜 ETF의 국내 상장 건수는 2022년에는 2건에서 작년 5건, 올해는 9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현재 상장된 커버드콜 ETF는 모두 20개로 이들의 순자산액 총계는 2조6061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말(7748억원)보다 236%가 증가했다.

운용 전략의 핵심은 파생금융상품인 '콜옵션'(특정 주식을 미리 정한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을 매도해 얻는 '옵션 프리미엄'으로 주식 수익에 더해 추가 수익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개인 순매수액 규모가 가장 큰 커버드콜 ETF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미국배당+7% 프리미엄다우존스'(2313억원)다.
지난달에 상장된 '신상 ETF'로 범위를 좁히면, 한국투자신탁운용의 'ACE 미국500 15% 프리미엄분배(합성)'가 순매수액 284억원으로 가장 많은 개인 자금이 유입됐다.

다만, 커버드콜 ETF는 변동성이 적은 횡보장에서는 유리하지만 급등장에서는 불리할 수 있다.

커버드콜 ETF가 구조가 복잡하고 어려운 것도 난관이다. 상승장의 혜택을 제대로 누리지 못하는 약점을 고쳐보고자 운용사들마다 상품 세부 구성을 다변화했다.

이로 인해 ETF마다 콜옵션의 비중·종류와 주가 상승을 잘 반영하는 정도가 달라 펀드 판매 담당자의 설명을 꼼꼼하게 들을 필요가 있다.

금융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커버드콜 ETF를 예금처럼 무조건 안정적으로 고배당금이 나오는 상품으로 착각하는 이들이 있어 안타깝다. 이 ETF는 중위험·중수익 상품으로서 원금손실 개연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