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X TMI지수는 코스피와 코스닥 전체에서 투자 가능 적격 종목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관리종목, 저유동성 종목, 거래정지 종목 등은 제외될 예정이다. 지수는 실제 거래 가능한 유동주식만으로 지수를 산출하는 '유동시총 가중방식'을 채택해 산출된다.
이에 더해 소속 시장과 관계없이 개별 종목의 시가총액 규모만을 기준으로 분류한 통합시장 규모별 지수도 추가 산출된다. 중대형, 중형, 소형, 초소형 TMI로 4종류다. 대형주 지수로는 기존 KRX 통합시장 대표지수인 KRX300을 활용할 예정이다.
지수의 기준시점은 2010년 4월1일, 기준지수는 1000포인트다. 정기 변경은 연 4회로, 매년 3월, 6월, 9월, 12월 선물 만기일 다음 거래일에 변경이 이뤄진다. 모든 코스피, 코스닥 상장종목을 'KRX TMI' 종목으로 선정 후 누적 시총 기준으로 추가 분류해 구성종목이 결정된다.
거래소는 기존에 없었던 한국 시장 전체를 아우르는 최상위 시황·벤치마크 지수 산출을 통해 효율적이고 완비성 있는 지수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또 KRX TMI 지수가 코스피 대비 벤치마크로서의 투자 및 복제 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통합시장을 기준으로 일관된 대/중/소형주 정보를 제공해 시장 간, 종목 간 시가총액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해외 주요 지수사업자와 같이 보다 체계적이고 경쟁력 있는 지수 개발과 관리 기반을 마련했다"라고 밝혔다.
김성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0328syu@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