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건은 지난 4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서 벌어졌다. 언론 카메라에 이춘석 의원이 스마트폰을 통해 증권 거래 앱을 실행한 모습이 포착됐는데, 화면 속 계좌 명의는 의원 본인이 아닌 보좌관 차모 씨였다.
해당 계좌에는 △카카오페이 537주 △네이버 150주 △LG CNS 420주 등 1억 원이 넘는 평가금액의 주식이 담겨 있었다. 체결창이 열려 있던 점에 비춰볼 때, 단순 열람이 아닌 실제 거래가 진행 중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같은 장면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국정감사 중에도 동일한 보좌관 명의 계좌로 주식 거래 앱을 들여다보는 모습이 포착돼 논란이 된 바 있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 의원이 가장 많이 담은 카카오페이는 8월 들어 6일까지 18.64% 하락했고, 네이버는 12.95%, LG CNS는 10.12% 각각 낙폭을 기록했다. 매수 시점을 특정하긴 어렵지만, 최근 주가 흐름만 놓고 보면 수익보다 손실 가능성이 더 크다.
시장에서는 이 의원이 보유한 종목들이 정부 디지털 정책 및 AI 산업 등과 관련성이 높은 종목이라는 점에서, 국정기획위원회 소속 위원이자 입법 권한을 가진 인물이 미공개 정책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는 점도 우려 섞인 시선으로 보고 있다.
현행법상 타인 명의 계좌를 이용한 거래는 금융실명법 위반 소지가 있으며, 공직자의 내부정보를 활용한 투자일 경우 자본시장법상 불공정 거래 행위로 간주될 수 있다.
서울경찰청은 현재 금융범죄수사대에 전담 수사팀(25명 규모)을 구성해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은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히 수사하겠다"고 밝혔다.
한 자산운용사 준법감시인은 "사실상 실명 위장을 통한 차명 거래로 보일 수 있는 사안"이라며 "특히 정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공직자가 직접 투자에 개입한 정황이라면, 정보 불균형과 시장 왜곡 우려가 더 크다"고 지적했다.
이춘석 의원은 논란이 불거진 다음 날인 5일 밤, 더불어민주당 탈당과 함께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직에서 사퇴했다. 당 지도부는 사실상 자진 사퇴 형식을 택했지만, 정치권 안팎에서는 추가적인 공직자 주식 전수조사와 제도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김성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0328syu@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