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하나증권 "농심, '케데헌' 마케팅 효과에 10%대 상승... 북미 실적도 기대"

글로벌이코노믹

하나증권 "농심, '케데헌' 마케팅 효과에 10%대 상승... 북미 실적도 기대"

농심 CI. 사진=농심이미지 확대보기
농심 CI. 사진=농심
하나증권은 1일 농심에 대해 하반기 북미 법인 실적 회복이 기대된다며, ‘매수’ 투자의견과 목표가 54만원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전일 종가는 41만원이다.

심은주 하나증권 연구원은 “농심 주가는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의 마케팅 협업을 발표한 후 약 10% 상승했다”며 “현 주가는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 14배에 거래 중으로 여전히 밸류에이션은 매력적”이라고 판단했다.

아울러 “하반기는 북미 법인의 실적 회복이 전망된다”며 “7월 미주에서 판가 인상(10% 초반)이 단행된 것으로 파악되며 3분기 실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오는 8월부터 월마트 등 대형 유통 채널로의 ‘신라면 툼바’ 입점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심 연구원은 “유럽 법인도 거래선 재정비 이후 매출 회복세가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농심 투자 지표. 자료=하나증권이미지 확대보기
농심 투자 지표. 자료=하나증권

유럽 법인도 거래선 재정비 이후 매출 회복세를 예측했다. 참고로, 6월부터 유럽 향 매출이 국내 수출→ 유럽 법인으로 반영되기 시작했다.

국내 법인의 수익성도 빠르게 회복 중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심 연구원은 “ 2분기 별도 손익은 전년대비 135억원 개선된 308억원을 기록했다”며 “판가 인상 이외에도 자체적인 비용 효율화 노력이 가시화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올해 별도 영업마진은 전년 대비 1.4%포인트 개선될 것으로 추정한다”고 분석했다.

2분기 미주(북미+남미) 성과를 비교해보면 농심의 미주 점유율은 중립 이상의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삼양식품이 독보적인 탑라인 성장을 시현했으며 닛신푸드는 특히 부진한 성과를 시현했다.

심 연구원은 "농심의 단기 수익성 부침 현상은 아쉬우나, 점유율을 점진적 확대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라며 "일본 업체들은 북미 및 남미 판가 인상 효과가 2분기 실적에 일부 반영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가운데 농심은 3분기부터 판가 인상 효과가 반영될 것으로 사료되는 바, 반기 수익성 및 탑라인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고 마무리했다.


김은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appyny777@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