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하나증권 "GS건설, 호치민시티 인근 개발 매출액 총 12.5조원 이상"

글로벌이코노믹

하나증권 "GS건설, 호치민시티 인근 개발 매출액 총 12.5조원 이상"

GS건설 CI. 사진=GS건설이미지 확대보기
GS건설 CI. 사진=GS건설
하나증권은 9일 GS건설에 대해 계획 중인 호치민시티 인근 개발(뚜띠엠, 롱빈, 나베)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매출액이 총 12.5조원 이상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는 2만 4000원을 유지했다.

김승준 하나증권 연구원은 “이는 주택 개발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매출액을 고려한 것으로, 토지 매각이나 오피스 개발매각 등은 고려하지 않았다”며 “모든 부지의 토지보상은 완료된 상황이지만, 인프라 공사를 통한 부지조성 작업을 진행 중이거나 진행해야 해 매출액의 초기 인식 속도는 느리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2027년까지 기대할 수 있는 매출액은 연간 2000~3000억원 수준”이라고 부연했다.

다만 부지 매입가격이 2017년 이전에 확정된 것과, 도급은 현지건설사에 맡기는 것을 고려했을 때 상당한 마진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했다. 2030년부터 매출액이 커질 것으로 예측했다.
GS건설 투자 지표. 자료=하나증권이미지 확대보기
GS건설 투자 지표. 자료=하나증권

김 연구원은 “앞으로의 베트남 개발을 위한 부지 매입은 어려워진다"며 "베트남에서 토지매입은 소유권을 갖는 것이 아니라 아닌 50년 사용권을 얻는 것"이라고 짚었다.

또 "이 중 택지의 경우 베트남 국민에게 분양 매각하면 영구사용권으로 변경되는 식”이라며 “GS건설의 부지 매입은 다른 방식으로 롱빈과 뚜띠엠은 모두 TBO도로를 지어준 공사비(3억 달러) 대가로 부지를 받았다"고 덧붙였다.

나베는 2007년에 투자허가를 받고 2013년에 토지가격 확정, 2017년에 토지보상이 완료됐다.

김 연구원은 “이미 부지가 다 확보돼 개발하기도 편하다"면서 "현재 부지조성이 어려운 환경을 고려할 때, 향후 토지 매각 시에도 가치가 매우 높다"고 섦여했다. 또한 "특히 2024년 토지법이 개정되면서 토지가격 산정 방식이 시장기반 원칙으로 변경, 토지가격이 시장 수준으로 상승하면 이미 토지를 확보한 GS건설과 같은 사업자에게 유리하다”고 강조했다.


김은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appyny777@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