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행정명령 발판 삼아... 의회 보고서 요구로 구체화 단계 돌입
파키스탄·키르기스스탄 등 국가들 선제적 행보... 글로벌 암호화폐 경쟁 심화
파키스탄·키르기스스탄 등 국가들 선제적 행보... 글로벌 암호화폐 경쟁 심화

알렉스 손은 이러한 움직임이 현재 금융 시장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의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은 단순한 아이디어 차원을 넘어 정책 단계로 진입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난 3월 트럼프 행정부의 행정명령으로 비축량 설립의 틀이 마련됐으며, 의회는 재무부에 관련 타당성 보고서 작성을 요구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비축량 확보, 다른 국가들도 앞다퉈 추진 중
이더뉴스에 따르면 일부 전문가들은 발표 시기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코인루츠의 데이브 와이스버거는 2026년이 더 현실적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비트코인 옹호론자들은 미국 정부가 신속하게 움직여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Jan3의 설립자 샘슨 모우는 파키스탄과 같은 다른 국가들이 먼저 행동에 나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키르기스스탄은 국가 암호화폐 비축량 관련 법안을 추진 중이며, 인도네시아에서도 정부 지도자들이 비트코인의 경제적 역할을 논의하는 등 국제적인 움직임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미국 정부 관계자들은 정책 보고서에 관련 내용이 거의 언급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 비축량 계획에 대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만약 미국이 비트코인을 공식적인 전략 자산으로 인정하고 비축량 확보를 시작한다면, 이는 글로벌 금융 시스템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