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이지은 대신증권 연구원은 “네이버 자회사인 네이버파이낸셜은 두나무를 포괄적 주식 교환 방식으로 자회사로 편입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며 “네이버는 이에 대해 포괄적 주식 교환 방식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을 두나무와 논의 중인 것으로 공시했다”고 설명했다.
일부 보도에서는 두나무의 송치형 회장이 네이버파이낸셜의 최대주주, 나아가 장기적으로는 네이버의 최대주주가 될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두나무의 현재 비상장 기업가치는 약 12조원이며, 네이버파이낸셜은 시장에서 약 3조~5조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연구원은 "지난해 영업이익은 두나무가 약 1조 1900억원, 네이버파이낸셜이 1035억원 수준임을 고려하면 주식 교환 이후 송 회장이 네이버파이낸셜의 최대주주로 올라설 가능성이 높다”며 “실제로 이러한 구도가 형성돼야 송 회장 입장에서도 이번 거래의 의미가 확보되며 네이버파이낸셜에 대한 리더십 확보 역시 가능하다”고 추측했다.
이미지 확대보기다만 이번 거래 이후 송치형 회장이 최대주주로 올라설 가능성이 더 현실적인 시나리오로 판단된했다. 이에 따라 이번 거래는 네이버에 단기적인 실적 개선 효과보다는 장기적인 사업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두 회사는 이번 거래를 통해 국내 원화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구축을 본격화하려는 것으로 판단한다”며 “스테이블코인을 발행, 네이버페이에 연동해 스테이블코인의 실물 결제 활용처를 확보하려는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국내 원화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선점해 스테이블코인을 담보로 확보한 예치금을 활용한 운용 수익 및 스테이블코인을 담보로 대출 서비스 제공 등이 가능하다”고 평가했다.
네이버파이낸셜은 결제 수수료를 절감하거나 새로운 금용 서비스를 도입함으로써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 연구원은 “현재 네이버 본업의 성장 모멘텀은 약화된 상황”이라며 “지난 2분기 실적에서 검색 광고 매출 성장률 둔화가 확인됐고 가장 매출 비중이 큰 광고 성장률 둔화에 전사 매출 성장률 역시 둔화됐다”고 짚었다. .
김은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appyny777@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실리콘 디코드] 삼성전자, 2나노 '엑시노스'로 퀄컴에 1년 앞선...](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3010281307895fbbec65dfb59152449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