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비제곱 네트워크, B² Hub와 차세대 엔진 ‘Pulsar’ 공개

글로벌이코노믹

비제곱 네트워크, B² Hub와 차세대 엔진 ‘Pulsar’ 공개

비제곱 네트워크가 AI-네이티브 인프라 진화 핵심 기술 B² Hub와 함께 차세대 엔진 ‘Pulsar’를 공개했다. 사진=비제곱네트워크이미지 확대보기
비제곱 네트워크가 AI-네이티브 인프라 진화 핵심 기술 B² Hub와 함께 차세대 엔진 ‘Pulsar’를 공개했다. 사진=비제곱네트워크
비트코인 네이티브 인프라 프로젝트 비제곱 네트워크 (B² Network)가 비트코인을 단순한 결제 레이어에서 AI-네이티브 인프라로 진화시키는 핵심 기술 B² Hub와 함께 차세대 엔진 ‘Pulsar’를 공개했다.

B² Hub는 비트코인 Taproot에 앵커링 되어 있는 레이어 1.5 합의 및 거버넌스 레이어로, Proof-of-Signal(PoSg 합의), U2 스테이블코인 결제, AI-네이티브 참여를 하나로 통합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비트코인이 DeFi, 게임, 엔터프라이즈, 특히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어떻게 구동할 수 있는지를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

비제곱 네트워크 (B² Network)의 이번 차세대 엔진 ‘Pulsar’를 공개는 블록체인의 반응 속도를 밀리초((0.001초) 단위로 끌어올리고, PoSg(Proof-of-Signal) 합의를 통해 블록체인 사용자 경험(UX)을 개선했다는 점이 주목을 받는다.

‘Pulsar’는 B² Hub의 핵심 엔진으로, 우주의 가장 정밀한 시계로 불리는 펄서(중성자별)에서 명칭이 유래됐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 기존 블록체인이 거래 승인까지 수 초 이상 지연되는 것과 달리 웹2 애플리케이션처럼 즉각적인 반응성을 제공하는 것이 대표적인 특징이다.
사전 확인(pre-confirmation) 기반 설계를 통해 트랜잭션이 블록에 최종 확정되기 전이라도 약 100~200 밀리초 내에 피드백을 제공하며, 결과는 캐싱 및 버전 스냅샷을 통해 안정적으로 관리된다. 이를 통해 게임 내 실시간 액션, DeFi 거래의 즉각적 체결, NFT 마켓의 빠른 매물 선점 등 다양한 사용 사례가 가능하다.

보안성도 한층 강화했다. 사전 실행은 순차적으로 처리되어 충돌을 방지하고, 검증받은 검증인을 거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혹시 모를 오류 발생 시, 자동 롤백이 적용돼 온-체인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사전 확인은 빠른 피드백을 제공하되 최종 확정은 블록 단위에서 이루어져 이중 보호 체계를 갖추고 있다.

비제곱 네트워크 (B² Network) 관계자는 “아마존에서 ‘바로 구매’를 눌렀는데 3초간 로딩된다거나 애플페이 혹은 구글페이를 쓸 때 2~3초 기다려야 한다면 답답함을 느낄 것이다. 즉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1초는 너무 길게 여겨질 수 있다는 것”이라며 “블록체인의 대중화를 가로막던 가장 큰 요인 증 하나도 속도였다. 이에 반해 ‘Pulsar’는 비트코인 보안성과 Web2 수준의 즉각적인 사용자 경험을 동시에 실현하여 블록체인을 실질적인 대중 인프라로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전했다.

관계자는 이어 “B² Network는 향후 ‘서브 밀리초 반응성, 비트코인 네이티브 통합, 크로스체인 가속, AI 기반 예측 처리, 엔터프라이즈용 API, 양자 내성 보안 등으로 ‘Pulsar’ 기술을 고도화할 계획이다”라고 덧붙였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