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상장사 로킷헬스케어, AI 기반 ‘심장재생 패치’ 개발 마무리…국내외 전임상 착수

글로벌이코노믹

상장사 로킷헬스케어, AI 기반 ‘심장재생 패치’ 개발 마무리…국내외 전임상 착수

로킷헬스케어 월별 시가총액 현황. 그래프=글로벌이코노믹이미지 확대보기
로킷헬스케어 월별 시가총액 현황. 그래프=글로벌이코노믹
코스닥 상장사 로킷헬스케어가 심근의 수축·이완 기능을 구현하는 ‘AI 심장재생 패치’ 개발을 마무리하고 국내외 전임상 시험에 착수한다고 13일 밝혔다.

향후 손상된 심근을 직접 재생하는 치료 솔루션을 목표로 한 것으로, 심근경색과 심근병증, 심부전 등 미충족 의료수요 대응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이 회사는 독일 프라운호퍼 생명공학연구소와의 협력 경험과 피부·연골·신장 등 다양한 장기 재생 과정에서 축적한 기술을 기반으로 독자적인 심장재생 패치를 완성했다. 자가세포를 활용한 차세대 재생치료 플랫폼 개발을 지속해온 연구 흐름의 연장선이다.

이번 패치는 심장근육과 모세혈관의 동시 재생을 염두에 두고 설계됐다. 전기신호 전달과 동기화된 수축 유도, 심장벽 보강, 줄기세포 및 성장인자의 국소적 전달, 면역·염증반응 최소화 등이 주요 기능으로 꼽힌다. 회사는 이를 통해 손상된 심근 회복 가능성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로킷헬스케어는 국내외 심장 전문 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효능과 안전성을 단계적으로 검증할 계획이다. 적응증 또한 심근경색, 확장성 심근병증, 심부전으로 넓혀갈 방침이다.

회사 관계자는 “WHO에 따르면 2022년 전 세계 심혈관질환 사망자는 약 1,980만명으로, 관련 질환은 여전히 전 세계 사망 원인 1위”라며 “기존 치료법은 증상 관리에 초점이 있어 손상된 심근 자체를 회복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심장근육과 혈관을 재생하는 AI 심장재생 패치를 통해 장기재생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주가 동향


로킷헬스케어 주가는 12일 종가 기준 3만5550원으로 시가총액은 5496억원 이다.

최근 20일 기준 주요 투자주체의 매매동향을 보면, 외국인은 85만6000주, 기관은 48만2000주를 각각 순매도했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