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하며 상반기 성장세를 안정적으로 이어갔다. 수출은 전년 대비 약 6% 증가했다.
송도 통합 거점 이전에 따른 연구·생산 인프라 확충과 인력 확대의 영향으로 판관비가 다소 증가했으나, 이는 글로벌 기술 대응력과 R&D 생산성 제고를 위한 구조적 투자로서 중장기 성장 기반을 강화하는 효과로 작용하고 있다.
화장품소재 부문은 글로벌 수출 확대와 내수 회복세가 맞물리며 3분기 실적을 견인했다. 특히 유럽(폴란드·독일)을 중심으로 K-뷰티 효능 원료의 신규 발주가 이어졌고, 미주·동남아 시장에서도 더마·클린뷰티 중심의 거래가 활기를 띠며 수출 지역과 고객층이 확대됐다.
또한 최근에는 비건 PDRN(L-PDRN FIRST)과 적채 유래 엑소좀(RedCabbage ExoSkin)을 신규 라인업에 추가해 에스테틱 및 시술 후 케어 시장까지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글로벌 화학기업 바스프(BASF)와 루브리졸(Lubrizol)과의 협력 강화도 기술 교류와 공급망 안정화 측면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원료의약품 부문은 올메사르탄, 암로디핀 등 혈압 치료제를 중심으로 한 안정적 수요가 실적을 이끌었다. 일부 호흡기 치료제의 둔화세에도 불구하고 해외 고객사 확보와 글로벌 공급 기반 확충이 지속되며 해외 매출 비중이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대봉엘에스는 제형·복합·투여 경로를 개선한 개량신약 개발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기존의 혈압·호흡기 중심에서 나아가 진균·대사질환 등 주요 질환군으로 연구 범위를 확대해 중장기 성장 기반을 다지고 있다.
자회사이자 국내 1위 피부 인체적용시험 전문기업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P&K) 역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 P&K는 계절적 비수기인 3분기에도 ▲기초·기능성 화장품 인체적용시험의 견조한 수요 ▲인디브랜드 확장에 따른 신규 수주 증가 ▲제품 효능 데이터 중심의 시장 트렌드 확산 등에 힘입어 누적 매출 170억 원을 달성했다. 특히 수출 중심의 인디 브랜드와의 협업을 확대하며, 아마존 등 글로벌 유통망에서 판매되는 다수의 K-뷰티 브랜드가 P&K의 인체적용시험 데이터를 근거로 제품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유럽증시] 주요국 증시 일제히 하락세...영국 FTSE 지수 0.05% ...](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4022117121705913edf69f862c5918150239.jpg)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관광주 매도세로 소폭 하락](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4080515474400644e250e8e1881062522498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