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서약은 석유 및 가스 회사들이 2030년까지 메탄 누출을 0.2% 미만으로 줄이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현재의 누출 수준인 2~3%보다 획기적 감축 목표다.
이 합의는 석유 및 가스 회사들이 생산, 운송, 저장, 사용 과정에 발생하는 메탄 누출을 줄이기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표로는 2030년까지 메탄 누출을 2020년 대비 60% 이상 줄이는 것으로 제시했다.
이 합의에는 세계 최대의 석유 및 가스 생산업체 중 하나인 엑손모빌(ExxonMobil)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아람코(Aramco)가 포함된다. 또한 환경방위기금(Environmental Defense Fund)과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를 포함한 몇몇 환경 비영리 단체와 정부 조직이 이를 추적하고 위성 기술을 사용해 추가적인 책임 조치를 제공하기로 서명했다.
이 합의는 석유 및 가스 산업의 메탄 배출을 줄이기 위한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된다.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80배 더 강력한 온실가스로, 전 세계에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18%를 차지한다.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단기적으로 더 큰 온난화를 초래한다. 반면, 메탄은 대기 중 체류 기간이 짧아 감축 효과가 빠르게 나타날 수 있다.
2023년 12월 기준, 메탄은 대기 중 온실가스 중 두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메탄 배출량은 최근 몇 년 동안 급격하게 증가해,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었다.
그러나, 전 세계 300개 이상의 환경 단체들은 이 합의가 충분하지 않다고 비판하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일단 이 합의를 환영하면서도, 석유 및 가스 회사들이 약속을 지킬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명했다.
환경단체들은 이 합의가 메탄 배출을 줄이기 위한 중요한 조치지만, 기업들이 약속을 지킬 수 있도록 의무화하고 책임을 묻는 강력한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한다. 과거에도 회사들은 합의를 종종 어겨왔기 때문이다.
실제 석유 및 가스 산업은 전 세계 에너지 공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어, 이들의 요구는 지지를 받고 있다.
이들은 석유 및 가스 산업이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탄소 포집 및 저장(CCS) 기술 개발 및 적용, 청정 수소 생산 및 활용을 더 확대해야 한다고 말한다.
미국 환경보호청(EPA)도 최근 메탄 오염에 대한 최종 규칙을 발표했다. 이 규칙은 미국 석유 및 가스 산업의 메탄 배출량을 2026년까지 2020년 대비 74%, 2030년까지 80% 줄이도록 요구한다.
미국 석유 및 가스 산업의 메탄 배출량을 크게 줄이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2024년 1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석유 및 가스 회사들이 합의와 규칙을 이행한다면 전 세계 메탄 배출량을 크게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COP28에서는 이 외에도 기후 재난으로 피해를 본 개발도상국을 지원하기 위한 기금을 조성하기로 했으며, 당사국들이 기술 평가 결과를 검토한 후 이를 토대로 한 ‘정치적 메시지’를 내놓기로 했다.
다만, 메시지에 어떤 내용을 담을지를 두고 기후 변동의 책임을 두고 갈등 상황에 놓여 있는 선진국과 개도국 간 대립이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지구 온난화 속도를 제어하고 기후 변동 피해를 줄이기 위해 이 합의가 실질적 결과를 가져오도록 정부와 기업, 그리고 시민사회의 지속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일부 우려와 비판 속에서도 COP28은 메탄가스 절감에 큰 진전을 보였으나,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중국과 인도가 2030년까지 전 세계 재생에너지 용량과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약속에 기권한 것이 큰 논란이 되고 있다.
이 두 국가는 경제 성장과 빈곤 감소를 위해 2030년까지 석탄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는 온난화를 최대한 억제하려는 시도에 큰 도전이 될 수밖에 없다.
인도와 중국은 세계 최대 석탄 소비국으로, 두 나라의 석탄 사용 감소 없이 지구 온난화를 억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재생 가능 에너지 발전 확대는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따라서, 인도와 중국의 약속 불이행으로 2030년까지 글로벌 재생에너지의 발전 용량을 최소 3배로 늘리겠다는 목표의 달성은 여전히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