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하원, 이란 자금 60억 달러 영구 동결이 초래할 이슈들

글로벌이코노믹

美하원, 이란 자금 60억 달러 영구 동결이 초래할 이슈들

美 하원, 이란 자금 60억 달러 영구 동결 법안 처리
바이든, 거부권 행사해도 상원에서 재의결 우려
미국 하원이 바이든 행정부가 이란에 제공한 60억 달러를 영구 동결하는 법안을 통과시켜 외교적 문제 발생이 예견된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하원이 바이든 행정부가 이란에 제공한 60억 달러를 영구 동결하는 법안을 통과시켜 외교적 문제 발생이 예견된다. 사진=로이터
미국 하원이 바이든 행정부가 이란에 제공한 60억 달러를 영구 동결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AP통신에 따르면 미국 하원은 11월 30일(현지시간) ‘대이란 테러 자금 차단 결의안’(No Funds for Iranian Terrorism Act)을 찬성 307표, 반대 119표로 처리했다. 하원 외교위원회 위원장인 마이클 맥콜(공화·텍사스)이 발의한 것으로, 민주당 의원 90명도 찬성하면서 여야가 합의로 법안을 처리했다.

118명의 민주당 의원과 1명의 공화당 의원인 토마스 매시 의원이 이에 반대했다.

공화당은 지난 8월 이 합의가 발표된 후 바이든 행정부가 이란에 굴복하고 그들이 더 많은 미국인을 체포하고 중동에서 미국에 더 공격적인 조치를 할 수 있게 했다고 비난하면서 이 거래를 비난해 왔다.
매콜 의원은 “의회가 이 자금이 정치나 미국 국민뿐만 아니라 전 세계 테러 피해자, 특히 이스라엘 국민을 위해 이란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을 것”이라고 말했다.

키스 셀프(공화·텍사스) 하원의원은 바이든 대통령이 이란과의 협상을 통해 “인질극에 대한 보상을 할 의향이 있다는 신호를 보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의 적들이 이해하는 언어는 단 하나뿐이다, 바로 힘이다”라고 외쳤다.

백악관은 부당하게 구금된 미국인 5명을 석방해야 했다며 60억 달러 동결을 해제하기로 한 결정을 옹호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또한 이란이 원하는 대로 돈을 사용하겠다고 약속했지만, 그 돈은 인도주의적인 이유로만 사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레고리 믹스(민주·뉴욕) 하원의원은 이란이 자금 중 '한 푼도' 지출하지 않았으며 그 자금이 '사악한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바이든이 억류 미국인들을 석방하기 위해 옳은 일을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법안 발의자인 맥콜 의원은 “이란이 그 돈을 인도주의적 목적으로만 사용한다고 가정하는 것은 순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거래가 단지 5명의 미국인 인질에 관한 것이 아니라고 덧붙였다. 바이든 행정부가 이란의 핵무기 개발을 제한하기 위해 이란과의 부활된 합의를 모색하기 위해 자금 동결 해제를 이용했을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미국은 핵 협상이 협정의 일부였다는 사실을 부인했다.

하원은 하마스와 이란의 지원을 받는 단체들이 인간 방패를 사용하는 것을 비난하고 중동의 미국 동맹국들에게 이들 단체를 반유대주의로 비난할 것을 촉구하는 법안 수정안을 통과시켰다.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가 지난 10월 7일 이스라엘 남부를 침공해 1200명을 살해하고 240명 이상을 인질로 잡은 이후 공화당은 60억 달러의 거래에 더욱 비판적 태도를 갖게 됐다. 공화당은 이란이 하마스의 핵심적 자금 제공자이자 후원자로 보고 있다.

이란이 지원하는 단체들은 전쟁 발발 이후 중동 전역에서 미군과 수십 차례 충돌했지만, 폭발성 드론과 로켓 공격 등의 맞대결에서 미군은 죽지 않았다.

하지만, 하원에서 처리된 자금 동결 법안은 하마스가 붙잡은 인질들을 석방하기 위해 진행 중인 추가 협상에 타격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 이스라엘과의 교전이 미약한 가운데 하마스 인질 수십 명이 풀려났지만, 테러단체는 아직 약 100명이 여전히 억류되어 있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란 인질 석방을 통해 외교적 성과를 거두려 했지만, 이번 법안 통과로 인해 굴욕적인 결과를 맞이할 위기에 처했다.

민주당 내에서도 이번 법안에 반발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민주당 일부 의원들은 “이 법안을 지지한 것이 미국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 법안이 상원을 통과할 경우, 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공화당 반발이 심하고 민주당 내부에서도 일부 반발이 있어 거부권 행사가 쉽지 않아 보인다.

바이든이 거부권을 행사하고, 법안을 재의결할 것을 요구해도 의회가 대통령 요구를 거부하고 재의결을 통과시키면, 대통령의 거부권은 무력화되고 해당 법안이 발효된다.

이는 바이든 대통령의 외교 정책에 큰 차질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는 바이든 대통령이 이란과 핵 협상을 재개하기 위해 노력하는 데 차질을 줄 수 있다. 이란은 미국에 신뢰를 버리고 핵 협상에 응할 가능성이 낮아질 것이다. 또한, 하마스 인질 석방 협상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법안이 상원을 통과하지 않도록 공화당 의원들을 설득하거나, 법안의 일부를 수정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일 수밖에 없는 국면에 처해 있다.

한편, 동결이 한국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거래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지 않았으며, 자금은 한국이 아닌 카타르에 보관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결이 한국의 금융 시스템이나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무리가 없어 보인다.

다만, 동결이 미국과 이란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경우, 이는 한국의 중동 외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국은 중동 지역에서 중요한 경제적, 정치적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미국과 이란 관계가 악화될 경우 한국의 중동 정책에도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하원이 통과시킨 법안은 이란이 자금에 손을 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바이든 행정부가 이란 자금 동결을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는 모든 외국 기업에도 제재를 가하도록 강제하고 있어, 법안이 상원에서 통과되고 바이든이 서명할 경우, 한국 기업이 이란에 자금을 송금하거나 투자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는 있다. 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 한국의 대이란 수출은 1540만 달러, 수입은 18만 7000달러로 집계됐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