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구조 변화와 글로벌 시장 동향이 더 큰 영향력 발휘
美 대선을 앞두고 해리스 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의 에너지 정책이 어떻게 전개될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미지 확대보기에너지 부문은 기후 대응은 물론 특히 한국의 경우 배터리, 풍력 등 관련 산업이 美 차기 행정부 정책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해리스는 친환경 노선, 트럼프는 화석 연료 개발을 지지하고 있어 두 후보 간 견해차가 뚜렷해 자칫, 정책 불확실성과 이후 특정 정책을 더 선호하는 정책을 펼칠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에너지 부문은 정책 변화 결과로 큰 손실의 우려가 있다는 추정이 계속 제기된 바 있다.
보도에 따르면, 스트래티지스 리서치는 해리스가 대선에 승리하기 위해서 프래킹(수압 파쇄) 입장을 완화했지만, 배출 규제, 연방 임대, 허가의 우선순위 등에서는 여전히 트럼프와 큰 차이를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한, 트럼프는 석유 가격을 낮추려고 더 많은 시추를 장려할 것으로 전망했다. 두 후보 공통적으로 친환경과 전통 에너지 부문에 더 천착하는 기존 견해가 여전히 우세하다고 본 것이다.
그러나, 더 주목할 점은 에너지 산업의 구조적 변화라고 주장한다.
트럼프의 ‘드릴, 베이비, 드릴’로 대표되던 강력한 시추 확대 정책은 더는 유효하지 않다는 것이다. 에너지 부문 전문가들은 기업들이 새로운 시추에 대해 훨씬 더 자제하고 주주들에게 현금을 돌려주는 데 더 집중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는 정책적 변화보다 기업의 내재적 가치와 시장 상황이 주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반영한 것이다.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변화를 감안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은 세계 최대의 석유 및 가스 생산국이자 수출국이 되었고,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미국 액화천연가스(LNG)는 유럽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자리 잡았다.
미국은 현재 하루에 약 1300만 배럴로 세계 최대 원유를 생산하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공급 안정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를 줄이면, 소비가 줄지 않는 한 글로벌 석유 공급망 혼란과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 미국이 석유 생산을 급격히 줄일 수 없는 이유가 된다.
이는 대선 이후 해리스가 당선하더라도 전통 에너지 부문의 안정 성장에 중요한 배경이 될 수 있다.
투자 측면에서, S&P500 에너지 부문을 대표하는 XLE ETF는 바이든 취임 이후 100% 상승했다. 이 ETF는 전통 에너지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다이아몬드백 에너지, 코노코필립스, 안테로 리소스 등 전통 에너지 기업과 함께 수소, 핵,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관련 기업들도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한편, 환경보호국(EPA) 등 행정기관의 에너지 관련 규제가 더 자주 법원의 심사를 받게 된 최근 대법원의 ‘셰브런 독트린’ 폐기 판결로 대통령의 에너지 정책 영향력이 제한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대통령의 규제 측면 영향력은 줄고, 의회와 판사들의 영향력이 더 커질 수도 있다.
결국, 미국 대선을 앞둔 에너지 정책 논쟁은 표면적으로는 후보 간 차이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미국 에너지 산업의 구조적 변화와 글로벌 시장의 동향이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은 일견 합리적으로 보인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단기적 정책 변화보다 기업의 근본적인 경쟁력과 시장 적응력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대선 이후 미국 에너지 산업은 전통과 재생을 아우르는 에너지 정책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실리콘 디코드] "글로벌 톱5도 꼼짝 못한다"…반도체 '소재의 소...](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2211014809049fbbec65dfb21017812723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