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NYT에 따르면 일본은 최근 국내산 쌀 품귀 현상과 가격 급등으로 한국산 쌀을 사재기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한국 농협중앙회가 지난 3월 말 일본에 처음 수출한 2.2톤 규모의 쌀이 일본 소비자들 사이에서 일주일 만에 완판됐다. 일본 내 쌀 품귀 현상은 약 20만톤 규모에 달하며 일본 정부가 비축미 방출에 나섰지만 여전히 가격은 지난해 대비 두 배 수준으로 치솟은 상태다.
과거 일본 소비자들은 외국산 쌀을 외면했다. 특히 1993년 쌀 위기 당시에는 태국산 등 외국산 쌀이 대거 수입됐음에도 불구하고 매대에 남아도는 일이 흔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상황이 다르다.
한국산 쌀이 인기를 끈 배경에는 품종의 유사성도 있다.
한국산 쌀은 일본산과 같은 단립종(자포니카)으로 찰기가 많은 식감을 선호하는 일본 소비자들의 입맛과 맞아떨어진다. 고바야시 다카시 일본 쌀 소믈리에 겸 판매업자는 NYT와 인터뷰에서 “한국 쌀은 일본 쌀에 비해 향과 단맛이 다소 약하지만 미국·태국·대만산 쌀과 비교하면 일본 쌀과 가장 비슷하다”고 평가했다. 박 소믈리에 역시 한국산 쌀의 식감을 “부드러움과 쫀득함, 그리고 약간의 포슬포슬함이 조화를 이룬다”고 설명했다.
서울역 인근 대형마트에서는 한국을 방문한 일본 관광객들이 쌀을 기념품처럼 사 가는 모습도 포착됐다. NYT는 지난 24일 서울역 인근 마트에서 만난 일본인 여성 세 명이 40파운드(약 18킬로그램)짜리 쌀을 살까 고민했지만 세관 통관 문제를 우려해 포기하는 장면을 전했다.
일본 내에서는 한국산 쌀이 자국산보다 약 25% 저렴하게 판매돼 빠르게 품절됐다. 도쿄의 한 대형마트는 한국산 쌀이 다음달 3일 재입고될 예정이라고 알렸다.
다만 장기적인 수출 전망은 불투명하다. 김한호 서울대 농업경제학과 교수는 “일본 쌀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에 한국산 쌀이 주목받는 것”이라며 가격 안정화 이후 수요 감소를 전망했다. 고바야시 다카시 소믈리에도 “일본 정부가 비축미를 방출하기 시작해 두 달 안에는 가격이 안정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국 농가에도 수출이 큰 이익은 아니라고 NYT는 전했다. 이윤희 담당자는 “수출 시 파운드당 3~6센트(약 41~82원) 이익이 발생하는 반면, 국내 판매 시에는 파운드당 최대 95센트(약 1303원)까지 벌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나대환 한국쌀유통협회 회장도 NYT에 “일본 쌀 가격이 더 올라야 수출이 지속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NYT는 일본 농민들 사이에서는 쌀 소비 부진과 정부 규제에 대한 불만이 확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달 도쿄에서는 정부의 쌀 재배 제한 정책에 항의하는 집회가 열리기도 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경기민감주 매수세에 반등...TOPIX는 사...](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10131550046840c8c1c064d59152449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