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이창용 "저출산·고령화 장기 저성장 위험… 양적완화 도입 고민할 시점"

글로벌이코노믹

이창용 "저출산·고령화 장기 저성장 위험… 양적완화 도입 고민할 시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한국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한국은행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30일 "선진국처럼 정책금리가 제로하한 수준에 근접하게 되면, 선진국 중앙은행이 했던 것처럼 양적완화(QE)와 같은 대차대조표 확대 정책을 도입할 수 있을지,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등에 대한 고민도 해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이 한국금융학회와 공동으로 개최한 ‘우리나라 통화정책수단의 운용과제 및 시사점’ 심포지엄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국은행은 미국, EU 등 선진국 중앙은행과 달리 전통적 통화정책 수단을 고수해왔지만 정책금리가 '제로(0)'에 근접해 더 내릴 수 없을 경우를 대비해야 한다는 게 이 총재의 주장이다.

이 총재는 양적완화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위기 대응 과정에서는 미국과 다르게 양적완화 카드를 쓰지 않고 대응이 가능했으나, 앞으로는 저출산·고령화로 장기 저성장 국면에 빠질 가능성이 커 대응이 가능할지 장담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양적완화는 중앙은행이 국채나 민간이 가지고 있는 일정 신용등급 이상의 채권을 매입해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량을 늘리는 적극적인 통화정책이다. 양적완화가 시행되는 상황은 기준금리가 0이거나 극도로 낮아 통화량을 증가시켜도 더 이상 이자율이 낮아지지 않을 때다.

이 총재는 "만약 이러한 수단을 활용하기 어렵다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대체 정책수단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