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오는 8일 4월 말 외환보유액 현황 공개

외환보유액은 12.3 비상계엄과 미국발 관세전쟁으로 치솟는 환율 방어에 소진되면서 지난 2월 4100억달러가 깨진 뒤 3월 소폭 반등했다. 한때 외환보유액 4000억달러선도 위태로웠지만 조기 대선에 따른 정치 불확실성 완화와 달러 약세로 외환보유액 급감 가능성은 줄었다는 분석이다.
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한은은 오는 8일 4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 현황 공개에서 4100억달러 재돌파 기대가 나오고 있다.
3월 말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4096억6000만달러이다. 지난해 12월 4156억달러였던 외환보유액은 12.3 계엄사태로 환율이 급등하면서 1월 45억9000만달러 감소한 데 이어 2월 18억달러 줄면서 4100억 달러선 밑으로 내려간 상태다. 외환보유액이 4100억달러선을 밑돈 것은 2020년 5월(4073억1000만달러) 이후 4년 9개월 만이다.
3월은 분기말효과로 4억5000만 달러 늘었지만 여전히 4100억달러 재진입에는 실패했다. 일반적으로 분기 말에는 국제결제은행(BIS) 비율 준수를 위해 금융기관들이 외화예수금을 늘리는 경향이 있어 외환보유액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외환당국의 환율 방어 필요성이 줄어들면서 외환보유액의 급감이 나타날 가능성은 옅어졌다는 분석이다. 4월 초 미국과 중국의 관세 갈등 격화로 원·달러 환율이 1480원대까지 튀었지만 4월 9일 상호 관세 부과 직전, 트럼프 행정부가 3개월의 유예 기간을 가지기로 하면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크게 완화됐고, 이에 환율도 1420원대로 내려왔다.
또 달러화 지위에 의구심이 커지면서 약달러 흐름이 커진 점도 외환보유액 반등 가능성을 지지한다. 미국 달러가 약세를 보이면 엔화, 유로화 등 기타 통화 외화자산 달러 환산액이 증가한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4월 초 104에서 지난달말 99로 4.9% 하락했다.
오재영 KB증권 연구원은 "연내 달러는 하락, 기타 통화는 강세 추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트럼프 1기 때에도 트럼프 당선 직후에서 취임전까지는 미국 경기에 대한 기대로 달러 가치가 가파르게 상승했으나, 이후 취임이후부터는 달러가 하락 전환해 2년간 하락세를 이어 나갔다. 현재까지의 외환시장은 트럼프 1기보다 하락 속도가 더 가파르다"고 진단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