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요금 인하로 상승폭 둔화… 생활비 압박 여전, '수요 주도 물가' 척도 3.4% 상승
BOJ, 7월말 정책 회의서 인플레이션 전망 '상향' 주목… 금리 인상 '고심'
BOJ, 7월말 정책 회의서 인플레이션 전망 '상향' 주목… 금리 인상 '고심'

이는 일본 경제가 직면한 지속적인 물가 압력을 부각시키는 것으로, 일본은행(BOJ)은 오는 7월 30~31일 차기 정책 회의에서 이 데이터를 면밀히 검토할 예정이다. BOJ는 이 회의에서 분기별 전망치 검토를 통해 인플레이션 전망치를 상향 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18일(현지시각)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변동성이 큰 신선 식품 가격을 제외한 전국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는 6월에 전년 대비 3.3% 상승했으며, 이는 시장 전망치 중앙값과 일치하는 수치라고 18일 정부 데이터가 밝혔다. 이번 상승폭은 5월의 3.7% 상승보다는 작았다. 이는 가계가 생활비 상승으로 인한 고통을 견뎌낼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연료 보조금 재개에 크게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BOJ가 국내 수요 주도 물가의 척도로 면밀히 주시하는, 신선 식품과 연료 비용을 모두 제거한 별도의 지수는 5월에 3.3% 상승한 후 6월에는 전년 대비 3.4% 상승하여 물가 상승 압력이 여전함을 보여주었다.
중앙은행은 금리를 추가 인상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신호를 보내왔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인상 조치가 경제적 충격을 주면서 지난 5월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해야 했고, 이는 다음 금리 인상 시기에 대한 결정을 복잡하게 만들었다.
일본 경제는 1분기에 생활비 상승이 소비에 타격을 주면서 위축되었다. 또한 지난 5월에는 수출이 8개월 만에 처음으로 감소하여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6월 로이터 여론조사에서 경제학자 대다수는 BOJ가 올해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는 등, 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다.
BOJ는 7월말 정책 회의에서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통화 정책 방향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물가 상승 압력의 지속에도 불구하고, 미국과의 무역 갈등, 내수 침체 가능성 등 경제 하방 위험이 존재하는 만큼, BOJ의 다음 금리 인상 시점과 폭은 더욱 신중하게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