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젤렌스키 토마호크 요구 거부…"현 전선서 정전하라" 압박

배런스는 지난 17일(현지시각)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러시아산 석유를 구매하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경제 붕괴를 막고 있다"며 "이번 전쟁은 사실상 미국과 중국 간 대리전"이라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경영컨설턴트 람 차란은 기고를 통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런 현실을 알아채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유럽에너지청정공기연구센터(CREA) 최신 자료를 보면 중국은 올해 7월 러시아 화석연료 최대 구매국이 되어 월 62억 유로(약 10조2900억 원) 규모를 사들였다. 이 가운데 원유가 41억 유로(약 6조8000억 원)로 66%를 차지했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통계로는 지난해 중국이 러시아산 원유를 625억9000만 달러(약 89조1700억 원) 어치 수입했다. 튀르키예가 러시아 정제유의 두 번째 큰 구매자로 나타났다.
알래스카 회담 실패 후 전략 바꿔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월 알래스카에서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으나 전쟁 종식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CNN은 당시 "양측이 거의 3시간 회담했지만 뚜렷한 성과 없이 끝났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뒤 "많은 부분에서 합의했지만 몇 가지 큰 사안은 아직 해결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전략을 바꿨다. 푸틴 대통령과 협상을 이어가면서도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방식을 새롭게 모색했다. 지난 16일 푸틴 대통령과 장시간 통화한 데 이어 17일 백악관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회담을 가졌다.
회담 참석자들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사거리 1600~2500km 토마호크 순항미사일 지원을 요청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거부했다. 액시오스는 "회담이 쉽지 않았다"는 소식통 말을 전하며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 외교로 해결하는 데 무게를 두고 있으며, 토마호크를 주면 이를 해칠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뒤 소셜미디어에 "양측은 지금 선 자리에서 멈춰야 한다"며 "양측 모두 승리를 선언하고 역사가 판단하게 하라"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우크라이나가 전쟁을 시작한 게 아니다"라면서도 "지금 선 자리에서 멈추고 대화를 시작하는 게 중요하다"며 트럼프 대통령 제안을 협상 출발점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생각을 밝혔다.
스위프트 넘어선 폭넓은 제재 예고
배런스는 트럼프 행정부가 러시아를 겨냥한 제재를 대폭 늘릴 것으로 내다봤다. 보도를 보면 트럼프 행정부는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 차단을 넘어 러시아 금융·물류 취약점 전반을 겨냥한 폭넓은 제재를 준비하고 있다. 스위프트는 국제 은행들이 금융 정보와 결제 지시를 주고받는 필수 통신 체계다.
조 바이든 전 행정부는 러시아를 스위프트에서 몰아냈지만, 러시아산 석유 수출은 제재에서 빼줬다. 이 때문에 러시아 중앙은행은 에너지 판매로 자금을 확보하며 경제를 유지할 수 있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 빈틈을 막으려 한다는 게 배런스 분석이다.
중국의 전략 계산
람 차란은 "중국이 푸틴을 지원하는 목표는 서방 산업 역량을 약화시키고 자원을 고갈시키며, 더 큰 분쟁을 앞두고 서방 대비 상태를 가늠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베이징은 러시아 전쟁을 돕는 데 제한된 자원만 쏟아부은 반면, 미국과 동맹국들은 우크라이나를 돕는 데 막대한 재정·군사 자산을 계속 쏟아붓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도를 보면 전쟁이 터진 지 3년이 지난 지금 서방 비축분은 고갈을 향해 가고 있으며, 러시아와 중국을 막아내는 토대인 서방 산업 기반은 서서히 무너지고 있다. 람 차란은 "시진핑 주석은 이를 알고 있다"며 "우크라이나 전쟁은 중국이 경계를 정하고 러시아가 전투를 벌이며 서방은 베이징에 맞서 얼마나 멀리 갈 생각이 있는지 결정해야 하는 체제 간 경쟁"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새 계획이 실행되면 미국이 얼마나 버틸 수 있는지뿐아니라 이런 현실을 알아채고 받아들일 수 있는지 시험대에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배런스는 "미국은 장기전을 대비해야 하며, 베이징이 푸틴을 돕는 목적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