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이런 가운데 그간 고민이 될 것으로 보였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고관세 부담 리스크가 실제로 다가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11일 지지통신이 분석한 바에 따르면 일본 자동차 주요 기업들에 대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고관세 부담액은 7개사 합계 1조4000억 엔(약 13조3000억 원)을 넘어섰고 닛산자동차, 마쓰다, 미쓰비시자동차 3개사는 순손익이 적자로 전락했다.
또 나머지 4개사도 대폭적 감익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 자동차 관세는 한·미 합의에 따라 9월 중순 27.5%에서 15%로 인하됐다. 다만 이에 대해 마쓰다 제프리 케이튼 전무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은 변함없다”라며 우려를 감추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일본 자동차 대기업들은 관세를 상쇄하기 위해 차량 및 부품 현지 생산을 추진하고 있지만 미국 관세 영향액은 토요타 9000억 엔, 닛산 2750억 엔으로 여전히 많은 부담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에서는 관세 부담분을 판매 가격에 반영해 가격을 인상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이럴 경우 소비 심리를 위축시킬 우려가 있어 적지 않은 고민이 되는 모양새다. 스바루의 오사키 아츠시 사장은 “(소비자 가격 인상 결정은)쉬운 문제가 아니다”라며 적지 않은 고민을 하고 있다고 밝혔고, 토요타와 혼다도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환율이 전년 동기 대비 엔고였던 점, 원자재 가격 상승 등도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북미에서 판매 호조를 보인 토요타와 스바루를 제외한 5개사는 4륜차 세계 판매 대수를 줄이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다.
그러나 하반기에도 전망은 녹록치 않을 전망이다. 미중 갈등을 배경으로 중국계 반도체 제조사 '넥스페리아'의 부품 공급이 중단되면서 혼다와 닛산은 공장 가동 중단 및 감산을 결정했다.
지지통신은 “넥스페리아의 반도체 출하가 재개될 전망이지만,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인해 일본 산업 핵심의 자동차 업체들의 전망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하이테크주 약세에 반락...매수 물량 소...](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7140004025380c8c1c064d591524497.jpg)


![[2026 대전망] 2026 지속가능발전 5대 지지대 전망](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070901020930835e857d0101062522498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