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슈퍼을’ ASML 품은 삼성전자·SK하닉…공급망 안전성 한층↑

글로벌이코노믹

‘슈퍼을’ ASML 품은 삼성전자·SK하닉…공급망 안전성 한층↑

화성캠퍼스, 사무공간·제품수리·재사용 센터 포함…엔지니어 교육도 가능
삼성전자·SK하이닉스, 제품 유지보수부터 엔지니어 교육까지 생산성 향상
12일 준공식을 개최한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ASML 화성 신사옥 조감도. 사진=쌍용건설이미지 확대보기
12일 준공식을 개최한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ASML 화성 신사옥 조감도. 사진=쌍용건설
글로벌 반도체 장비 업체 ASML이 한국에 제조 클러스터를 완공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제품 제조를 위한 공급망이 한층 강화됐다는 평가다. ASML이 한국에 건설하기로 한 연구개발(R&D)센터 건설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ASML이 새롭게 개관한 화성캠퍼스는 사무 공간을 비롯해 제품 수리와 재사용 센터를 포함한 복합 클러스터로 설계됐다. ASML은 이 시설에서 고객사 엔지니어에게 장비 사용법을 교육하고, 제품 수리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생산 안정성을 개선해주는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상 ASML이 한 해 생산하는 하이(High) NA 극자외선(EUV) 장비는 5~6대 수준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ASML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화성캠퍼스가 완공되면서 제품이 고장 나도 빠르게 조치받을 수 있고, 제품 사용을 위한 교육도 가능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ASML은 한국 기업들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크리스토프 푸케 ASML 최고경영자(CEO)는 화성캠퍼스 준공식에서 "화성시는 주요 반도체 제조사들이 밀집한 전략적 거점으로 기술 협력과 지원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면서 "화성캠퍼스는 한국 고객과의 신뢰·혁신·지속가능성·성장을 향한 ASML의 의지를 상징하는 공간"이라고 말했다.
이에 삼성전자와 ASML이 7억 유로(약 1조2000억 원)를 투자해 추진 중인 공동 R&D센터 프로젝트도 한층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현재 부지 선정 막바지 단계인 것으로 알려졌다.

ASML이 삼성전자·SK하이닉스와의 협력 강화에 나서는 이유는 TSMC와 함께 최대 고객사이기 때문이다. 특히 인공지능(AI) 열풍으로 D램을 비롯해 고대역폭메모리(HBM), 낸드 등 거의 모든 반도체 제품 수요가 폭증하고 있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생산량 확대를 추진 중이다. 삼성전자는 평택캠퍼스 P3공장에 이어 P4와 P5 착공 준비에 들어갔고, SK하이닉스는 청주에 있는 M15X 외 용인에 반도체 클러스터 건설도 진행 중이다. 신규 공장에 ASML의 장비 공급이 필수인 점을 고려하면 화성캠퍼스는 제품 판매를 위한 투자인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메모리 분야에서 한국이 주요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ASML과의 협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HBM 등의 제품 생산에 파운드리 기술이 사용되면서 생산 장비의 중요성이 한층 강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