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 보도, 팀 쿡 올해 65세 맞으면서 이르면 내년 이임 준비, 승계 계획 '고강도 추진’
14년간 시가총액 3500억에서 4조 달러 견인… 시장은 'AI 뒤처짐' 우려 목소리 속에 ‘하드웨어 리더십' 주목
14년간 시가총액 3500억에서 4조 달러 견인… 시장은 'AI 뒤처짐' 우려 목소리 속에 ‘하드웨어 리더십' 주목
이미지 확대보기파이낸셜타임스(FT)는 15일(현지 시각) 보도를 통해 애플 이사회와 고위 경영진이 2025년 들어 65세 생일을 맞은 쿡 CEO의 퇴진에 대비해 최근 승계 준비를 본격화하고 있다고 내부 사정에 밝은 여러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소식통들은 애플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담당 수석 부사장인 존 터너스(John Ternus)가 쿡 CEO의 가장 유력한 후계자로 꼽힌다고 밝혔으나, 최종 결정은 나지 않은 상태다.
쿡 CEO는 생전(生前) 내부 인사가 후임자가 되기를 바란다는 견해를 밝힌 바 있으며, 애플에는 이미 '매우 상세한 승계 계획'이 있다고 2023년 11월 가수 두아 리파의 팟캐스트에서 말했다. 그는 당시 "애플이 좋으며, 애플 없는 내 삶은 상상할 수 없기에 한동안 더 머물 것"이라며 장기 재직 의사를 내비쳤다.
쿡 CEO, 14년 만에 애플 시총 10배↑ 견인… AI 시대 '성장 정체' 우려
쿡 CEO는 2011년 애플의 공동 창업자 스티브 잡스에게서 지휘봉을 넘겨받았다. 잡스는 그해 수개월 뒤 세상을 떠났다. 전임 최고운영책임자(COO) 출신인 쿡 CEO가 취임할 당시 애플의 시가총액은 약 3500억 달러(약 509조 원)였으나, 현재는 4조 달러로 10배 이상 폭증했다.
쿡 CEO는 아이폰 제조사 애플을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기업으로 키우는 데 결정적 노릇을 했다. 애플의 주가는 지난달 강력한 실적을 발표한 뒤 사상 최고치에 가까운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다만, 월가의 인공지능(AI) 열광에 힘입어 알파벳, 엔비디아(Nvidia),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다른 거대 기술 기업들의 주가 상승률에는 다소 뒤처지고 있다.
애플의 올해 주가 상승률은 12퍼센트(%) 남짓으로, 경쟁사들보다 낮은 수준이다. 애플은 최근 몇 년 동안 고위 경영진에 변화를 겪었다. 쿡 CEO의 오랜 측근이었던 루카 마에스트리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올해 초 물러났으며, 쿡 CEO의 또 다른 측근인 제프 윌리엄스 최고운영책임자(COO)도 지난 7월 사임할 뜻을 밝혔다.
차기 주자 '하드웨어 전문가' 터너스, “애플 AI 혁신 이끌까?”
터너스는 현재 아이폰을 비롯해 아이패드, 맥(Mac), 에어팟(AirPods) 등 애플의 핵심 하드웨어 제품 개발을 총괄하고 있다. 그는 2001년 애플에 합류해 아이맥(iMac)과 아이팟(iPod) 프로젝트 등에 참여하며 경력을 쌓았다. 월가에서는 애플이 인공지능(AI) 분야에서 경쟁사에 비해 눈에 띄는 혁신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내놓는다. 애플 주가의 올해 상승률이 다른 거대 기술 기업들에 뒤처지는 배경에도 AI 분야에서의 약세가 자리한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장기적인 승계 계획… "실적과는 무관한 결정“
애플 안팎의 소식통들은 쿡 CEO의 퇴진을 위한 장기 계획이 이미 진행돼 왔으며, 이것이 아이폰의 연말 판매 실적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애플의 현재 실적과는 무관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하지만 준비 작업이 최근 들어 더 강도를 높이고 있으며, 발표 시점은 변동될 수 있다는 점도 함께 언급됐다.
애플은 이번 연말 성수기에 역대급 아이폰 판매를 예상하는 등 긍정적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쿡 CEO가 회사의 가치를 3500억 달러에서 4조 달러로 끌어올린 만큼, 그의 후임이 정해지는 과정은 애플의 향후 10년을 좌우할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