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잔재 땅이름과 말밑 풀이 1]
[그림경제=반재원 땅이름학회장] 일반적인 어원 변화는 주로 그 발음에서 많이 찾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곶의 바깥 지역을 뜻하는 ‘곶밖’이 ‘꽂밭’으로 음이 변하여 불리다가 나중에는 원래의 뜻과는 아무런 관계도 없는 ‘화전동(花田洞)’이 되어버리는 식이다. 곶의 안은 ‘곶안’인데 ‘고잔’으로 변하여 ‘고잔동(高殘洞)’이 되었다. ‘꽃메마을’이라는 이름도 ‘곶뫼’에서 온 말이다. ‘몽촌토성’을 보자. ‘몽촌(夢村)’은 글자 그대로 ‘꿈마을’이다. 그러나 그 동네 역시 꿈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곳이다. 원 발음은 ‘신성한 터’라는 의미인 ‘검마을’이던 것이 경음화 현상에 의하여 그만 ‘꿈마을’이 되었고 그것이 ‘몽촌(夢村)’으로 바뀌어진 것이다. 그야 말로 꿈같은 이야기이다.
‘낙화유의(落花有意), 수류수(隨流水), 유수무심(流水無心), 송낙화(送落花)’라고 하였다. 떨어진 꽃잎은 뜻이 있어 흐르는 물을 따라 가지만 흐르는 물은 무심히 그 꽃잎을 흘려보낼 뿐이듯이 세월 따라 이렇게 무상하게 변하는 것이 땅이름이다. 그러나 발음이 변천해온 과정을 살펴보면 인간이 살아온 진솔한 역사를 함축하고 있는 것이 또한 땅 이름이다.
땅이름은 그곳의 역사와 문화의 이동과정을 간단명료하게 밝혀 준다는 점에서, 또 말이 곧 사상의 표현이라는 점에서도 토박이 땅이름을 버려서는 안 될 것이다. 유물이 침묵의 화석이라면 땅이름은 그곳의 변천 경로를 명료하게 알려주는 살아있는 화석이다. 그러므로 여의도는 너벌섬으로(넓은 섬), 내일은 올제로(지난 날은 어제, 다가올 날은 올제), 반포는 쪽개(쪽은 절반, 개는 개펄), 마포는 삼개(마麻는 삼, 개는 개펄), 마니산은 머리산으로(마리는 머리, 즉 우두머리, 두악(頭岳)에 참성단을 세우다) 다시 살려 쓸 수 있다.
뱃사공은 ‘나루치’ 현찰을 ‘맞돈’로 해서 안 될 아무런 이유가 없는 것이다. 지금도 새끼 꼬는 기구를 ‘새끼틀’ 재봉기계를 ‘재봉틀’이라고 쓰고 있다. 또 동거하는 남녀를 ‘뜨게부부’라고 하고(뜨게는 흉내 내는 것) 유부남은 ‘남진 아비’ 또는 ‘핫아비’라 하고, 나이차가 조금 나도 서로 친구처럼 지내는 사이를 ‘자치동갑’ 겨우 얼굴을 아는 정도의 사이를 ‘풋낯’, 서로 허물없이 너 나하면서 지낸 사이를 ‘너나들이’ 매우 친하고 가까운 사이를 ‘옴살’ 부부를 겸손하게 낮추어 ‘가시버시’라고 한다.
아울러 관광은 ‘볼거리’, 여행은 ‘나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