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현지시간) 파키스탄 외교부는 이날 성명을 내고 “오늘 오전 이란의 (남동부) 시스탄-발루치스탄주(州)의 테러리스트 은신처들에 대한 일련의 정밀 타격을 수행했다”라며 “이 공격으로 많은 테러리스트가 사망했다”라고 밝혔다.
같은 날 이란 언론들도 파키스탄과 접경한 시스탄-발루치스탄주(州)의 한 마을이 여러 발의 미사일 공격을 받았으며, 이란인이 아닌 여성 3명과 어린이 4명이 사망했다고 전했다.
이란 국영 IRNA 통신은 시스탄-발루치스탄주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사라반시(市) 주변 다수 지역에서 여러 차례 폭음이 들렸다”고 보도했다.
파키스탄의 이번 공습은 이틀 전 이란이 자국 영토에 미사일 공격을 가한 것에 대한 보복성 공격으로 풀이된다.
다만, 파키스탄은 공식 성명에서 "이란의 주권과 영토 통합을 전적으로 존중한다"면서 "오늘 행동(공습)의 유일한 목적은 가장 중요하고 양보할 수 없는 파키스탄 자체의 보안과 국익을 추구하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이며 추가적인 확전은 피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번 파키스탄의 공격에 대한 이란 정부의 공식적인 입장은 아직 나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이란은 지난 16일 파키스탄 내 위치한 무장 조직 ‘자이시 알아들’이 이스라엘과 연계되어 있다고 주장하며 그들의 근거지를 미사일로 공격했다고 밝혔다.
자이시 알아들은 파키스탄에 근거지를 둔 이란의 수니파 분리주의 무장 조직으로, 2012년에 설립되어 주로 국경 지대에서 활동한다.
하지만 파키스탄은 이란의 갑작스러운 공습으로 현지의 어린이 2명이 숨지고 3명이 다쳤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어 이란 주재 대사를 자국으로 소환한 데 이어, “이로 인한 모든 일의 책임은 테헤란이 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하는 등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최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pc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