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드론 독점' 깨기 나선 일본, 인도·태평양 동맹국에 공급 확대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드론 독점' 깨기 나선 일본, 인도·태평양 동맹국에 공급 확대

내년부터 안보지원 프로그램 통해 공급..."중국산 안보 우려 대체 수요 공략“
일본 드론업계 "기술력은 우수하나 대량생산 한계...정부 지원으로 돌파구"
일본이 인도·태평양 지역 동맹국들에 자국산 드론 공급을 확대한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일본이 인도·태평양 지역 동맹국들에 자국산 드론 공급을 확대한다. 사진=로이터
일본이 인도·태평양 지역 동맹국들에 자국산 드론 공급을 확대한다. 중국 제품 의존도를 낮추려는 각국 수요에 부응하면서 자국 드론산업 육성도 도모한다는 전략이라고 20일(현지시각)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2025 회계연도부터 공식 안보지원(OSA) 프로그램을 통해 우방국에 드론을 제공한다. OSA 예산은 전년 대비 60% 증가한 81억 엔(약 730억 원)으로, 8~9개국을 지원할 계획이다.

드론은 대당 10만~수천만 엔 규모로, 인프라 점검과 해상 감시 등에 활용된다. 외무성과 경제산업성은 스바루, 야마하 등 80여개 기업이 참여하는 일본 무인항공기협회와 협력해 제품 카탈로그를 만들어 배포할 예정이다.

중국의 해양활동 증가로 정찰용 드론 수요가 늘고 있다. 현재 세계 민간드론 시장은 DJI 등 중국 기업이 장악하고 있으나, 안보 우려로 대체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일본은 자국 드론산업 육성도 노린다. 현재 20개 제조사와 50여개 공급업체가 있지만 세계시장 점유율은 미미하다. 대량생산 체제가 미비한 것이 약점으로 꼽힌다.

일본 리서치사 임프레스는 국내 드론시장이 2023년 3854억 엔에서 2028년 9054억 엔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외국 수요 확보로 산업 규모가 커질 것으로 기대한다.

게이오대 후루타니 토모유키 교수는 "일본 기업들의 기술력은 우수하나 대량생산 시스템이 부족하다"며 "OSA를 통한 수출 확대가 시장 진입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일본 기업들의 실전 경험 부족을 지적하며 해외기업과의 협력 필요성도 제기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