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연 2.50% 동결
"금융안정 고려해 인하 시기·속도 결정"
이창용 "집값 상승 속도, 작년 8월 보다 빨라"
"금융안정 고려해 인하 시기·속도 결정"
이창용 "집값 상승 속도, 작년 8월 보다 빨라"

국내 경기침체 우려가 계속되고 있지만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이 국회를 통과하고 조기 집행을 앞두고 있어 성장에 대한 우려는 일부 덜었다는 평가다. 반면 서울 일부 지역의 주택가격이 폭등하고 가계대출이 지난달 6조원 이상 증가하는 등 금융안정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진 것을 반영한 조치로 풀이된다.
한은은 금리 인하 기조는 이어가되 인하 시기와 폭은 물가와 금융안정 상황을 보면서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7~8월도 가계부채 증가세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고, 정부의 6·27 대책이 효과가 확인되기까지 충분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8월 인하는 현실적으로 힘들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이에 하반기 첫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보다 늦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고개를 들고 있다.
한은 금통위는 10일 열린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이번 동결 결정은 금통위원 6명의 만장일치로 이뤄졌다
이변 결정은 시장의 전망과 부합했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2일까지 채권 보유 및 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3%는 금리 동결을 예상했다.
시장에서는 동결의 주된 근거로 수도권 부동산시장 과열 가능성과 가계대출 급증을 들었지만 실제 한은도 이를 가장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금통위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이 오르는 속도가 작년 8월보다 빠르다"면서 "지난해 8월보다 경계감이 더 심하다"고 밝혔다.
금융안정 리스크가 이어질 경우 8월 인하도 장담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 총재는 "8월이면 문제가 해결될지 확신하기 어렵다"면서 "지금 상황에서는 언제 금리를 더 낮출지, 어디까지 갈지 미리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금리 인하 시기를 놓고 금통위원간 이견도 나타났다. 이번 금리 동결은 금통위원들의 만장일치로 이뤄졌지만 향후 3개월 금리 전망에 대해서는 금통위원 간 의견차가 드러났다. 3개월 내 조건부 포워드 가이던스와 관련 금통위원 4명은 기준금리를 현재 2.5%보다 낮은 수준으로 인하할 가능성 열어놔야 한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금통위원 6명 중 4명은 추가 인하 가능성을 열어놓고 관세 협상 결과 진전과 정부 대출 규제 영향 등을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을 냈고, 나머지 2명은 금융안정에 대한 확신을 얻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며 한미 금리차가 확대에도 경계감을 보였다.

이에 시장에서는 8월 인하 가능성을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한은이 하반기 최소한 한 차례는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8월에 빠른 인하를 택하고 연말까지 금리를 묶어두는 선택이 낫다는 주장도 나온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가계부채는 흐름의 예상이 가능하기에 8월 인하에 큰 걸림돌이 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지난해 대책 발표 후 시장 안정까지 11주가 소요되었음을 감안하면, 이번에도 집값은 안정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유력하게 효과가 나타날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여전한 성장 우려는 기준금리 추가 인하를 지지한다"면서 "그러나 과도한 금리 인하 기대감 제어 필요성과 금융안정을 감안한 중립금리 등을 고려하면 8월 인하 후 연말까지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8월 인하 후 10~11월 중 추가 인하에 나설 것이란 분석도 있다.
김명실 iM증권 연구원은 "포워드가이던스 결과와 통방문, 기자회견 내용 등을 종합해 볼 때 한은의 정책대응이 금융안정에서 경기대응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고 판단하며, 8월 금리인하 가능성이 높다는 기존 전망을 유지한다"면서 "하반기 관세로 인한 수출 증가율의 마이너스 전환, 추경의 실질 집행규모가 실제보다 적고 내수진작 효과가 기대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점, 국고 발행부담으로 인해 시중금리 상승이 지속될 경우 또 다른 경기회복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한은의 금리인하는 선택이 아닌 필수 결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은이 8월 인하 이후에 앞서 언급한 인하에 대한 근거들이 3분기 말~4분기 초 사이 더 악화될 경우 11월 추가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