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7월 물가, 트럼프 관세 영향 확대…연준 금리 인하 계획에 변수

글로벌이코노믹

美 7월 물가, 트럼프 관세 영향 확대…연준 금리 인하 계획에 변수

지난 2022년 8월 19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 마운트플레전트 지역의 엘 프로그레소 마켓에서 한 손님이 식료품을 고르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022년 8월 19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 마운트플레전트 지역의 엘 프로그레소 마켓에서 한 손님이 식료품을 고르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의 7월 소비자물가가 트럼프 행정부의 전방위 관세 부과로 상승 압력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날 전망이라고 뉴욕타임스(NYT)가 12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NYT는 미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BLS)이 이날 발표할 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2.8%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대로 발표가 나온다면 5개월 만에 가장 빠른 상승세가 된다.

변동성이 큰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전달보다 0.3% 오르며 연율 3%를 기록할 것으로 관측됐다. 6월 근원 CPI는 전월 대비 0.2%, 연율 2.9% 상승이었다.

◇ 관세 전가 본격화…가구·가전·신발 가격 인상

NYT에 따르면 미국 기업들은 지난 4월부터 모든 수입품에 부과된 10% 관세와 철강·알루미늄·중국·캐나다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에도 상반기 동안은 재고 비축과 가격 흡수 전략으로 소비자 가격 인상을 미뤄왔다.

그러나 6월 물가가 눈에 띄게 오르면서 7월에는 관세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기업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는 관측이다. 가구, 가전, 생활용품, 레저용품, 신발 등이 주요 상승 품목으로 꼽힌다.

반면 신차·중고차 가격은 완성차 업체들이 관세 부담을 직접 떠안으며 비교적 안정세를 보였지만 경제학자들은 “이마저도 머지않아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고용 둔화 속 연준의 고민


항공료, 호텔 요금 등 서비스 가격은 미국인들의 지출 선호 변화로 하락세를 보였다. 7월 고용보고서에서는 신규 고용이 7만3000명 증가에 그쳤고 5~6월 수치는 총 25만8000명 하향 수정됐다. 임금 상승세도 둔화하고 있어 연방준비제도는 물가와 고용 사이에서 어려운 정책 판단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NYT는 전했다.

연준은 올해 초부터 금리를 동결해왔으며 다음달 회의에서 금리 인하 재개를 둘러싼 내부 이견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롬 파월 의장과 연준 이사진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며 통화 완화를 압박하고 있다. 그는 이달 초 아드리아나 쿠글러 이사가 사임하자 공석에 스티븐 미란 전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을 임명했다. 미란 지명자는 상원 인준을 거쳐 연준 금리 결정 표결에 참여하게 된다.

NYT에 따르면 경제학자들은 “예상보다 물가 상승이 가파르면 9월 금리 인하 계획이 무산될 수 있다”며 “관세가 없었다면 이미 차입 비용을 낮출 수 있었을 것”이라는 파월 의장의 지난 발언을 상기시켰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