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경기도, 기아 평택CXP 개소…미래 모빌리티 산업벨트 완성 가속

글로벌이코노믹

경기도, 기아 평택CXP 개소…미래 모빌리티 산업벨트 완성 가속

경기도가 기아㈜의 미래 모빌리티 복합문화공간 ‘평택CXP' 개소식에서 커팅식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이미지 확대보기
경기도가 기아㈜의 미래 모빌리티 복합문화공간 ‘평택CXP' 개소식에서 커팅식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경기도가 적극적인 투자유치 전략과 민관협력으로 기아㈜의 미래 모빌리티 복합문화공간 ‘평택CXP(Certified Pre-owned Experience Park)’ 유치에 성공했다.

도는 평택시에 기아 평택CXP가 공식 문을 열었다고 17일 밝혔다.

평택CXP는 인증 중고차를 단순 판매하는 공간을 넘어, 고객이 직접 체험하며 새로운 모빌리티 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획된 국내 최초의 미래형 복합문화공간이다.

이곳은 6만1500여㎡ 부지에 지상 4층, 연면적 2만9000여㎡ 규모로 조성됐으며 △인증 중고차 전시·판매 △목적기반차량(PBV) 전시 △신차 체험 및 주행트랙 △반려동물 놀이터 등 다양한 시설을 갖췄다.
특히 평택휴게소와 연계된 편의공간을 마련해 지역 주민과 방문객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조성됐다.

이번 유치는 경기도가 추진해온 미래 모빌리티 산업 생태계 구축 전략의 핵심 성과로 평가된다. 지난해 9월 광명 전기차 전용공장 준공, 지난 14일 화성 PBV 전용공장 준공에 이어 평택CXP 개소까지 더해지며 경기 남부권을 연결하는 ‘미래 모빌리티 산업벨트’ 구축이 본격 속도를 내고 있다.

이를 통해 경기도는 PBV·전기차 개발에서 생산·체험·판매로 이어지는 전주기 생태계를 한층 강화했다. 현재 경기도에는 전국 자동차 R&D 투자금액의 71.1%, 연구인력 2만3000여 명(전국의 61.6%)이 활동하며 대한민국 미래차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잡고 있다.

도는 평택CXP 유치를 위해 평택시·기아와 긴밀한 민관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선제적 행정지원에 나섰다.

특히 공사 과정에서 발생한 진입도로 지연 문제를 신속히 해결하며 기업 친화적 환경을 조성해 기아의 투자 결정을 이끌어냈다. 평택시의 적극적인 행정 협조와 경기도의 신속 대응이 맞물린 대표적 상생 사례로 꼽힌다.
박근균 경기도 국제협력국장은 “평택CXP는 경기도의 전략적 투자유치와 기아·평택시 간 긴밀한 협력의 결실”이라며 “앞으로도 기업이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하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원정 기아 국내사업본부장은 “평택CXP는 인증 중고차뿐 아니라 PBV 체험 등 기아의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이라며 “센터 개소에 협조한 평택시와 경기도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도는 앞으로도 모빌리티·반도체 등 첨단 전략산업 글로벌 앵커기업 유치를 위해 투자상담, 팸투어, 전문기관 협업 등 맞춤형 투자유치 활동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