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개 공기업 중 한국가스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중부발전, 대한석탄공사, 부산항만공사, 주택토지보증공사 등 9개 기관의 웹사이트는 검색엔진의 정보검색을 완전 차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한국공항공사, 한국관광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한국석유공사, 여수광양항만공사 등 5개 기관의 웹사이트도 검색엔진의 정보검색을 부분 차단, 웹개방성이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웹 개방성 평가기관인 웹발전연구소는 4일 숙명여대 정책산업대학원 IT융합비즈니스전공 및 웹 개방성 인증기관인 한국ICT인증위원회(KIAC)와 공동으로 공기업 웹사이트 30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검색엔진 배제선언 평가결과를 이 같이 발표했다. 이번 평가는 대상 기관 웹사이트의 메인 도메인을 대상으로 검색엔진 차단 여부만을 평가했다.
전체 공기업 30개 중 절반에 가까운 14개 공기업이 웹개방성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색엔진의 정보검색을 완전 개방한 공기업은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서부발전(주), 한국수력원자력(주), 한국전력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울산항만공사, 인천항만공사,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한국감정원, 한국도로공사, 한국마사회,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조폐공사, 한국철도공사, 해양환경관리공단 등 16개 공기업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2년부터 정부주요포털과 광역자치단체 등의 웹사이트 개방성 평가를 해온 웹발전연구소는 "웹 개방성 측면에서 웹사이트 내의 정보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것은 정보수집 및 검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는 웹 개방성에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검색엔진의 정보수집을 차단하면 검색엔진을 통해 국민이 원하는 각 해당 사이트의 정확하고 자세한 정보를 받을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문형남 대표는 이어 "개인정보보호·보안은 웹 개방성과 별개 문제로, 일부 기관과 업체들이 보안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고정관념으로 인해 정보 접근을 차단하는 것은 시정돼야 한다"며 "각 기관 담당자들의 웹 정보 개방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여 사용자들의 정보 접근성을 높여야한다"고 강조했다.
노정용 기자 no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