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저축은행권 SVB 사태 파장 제한적"

공유
0

"저축은행권 SVB 사태 파장 제한적"

수신고 급증 우려 목소리
자금 대부분 대출로 운용
SVB와 리스크 상황 달라
건전성 관리 필요성 대두

실리콘밸리 은행(svb) 본사 입구.    사진=연합뉴스
실리콘밸리 은행(svb) 본사 입구. 사진=연합뉴스
급격한 금리인상 여파로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이 파산한 가운데 국내에서도 지난해 수신 잔액이 급격히 늘어난 상호금융과 저축은행 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다만, 금융 당국은 SVB 사태가 2금융권에 미칠 영향력을 제한적으로 본다. 하지만 연체율 지표 등이 악화되는 만큼 건전성 관리 필요성은 커지고 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상 새마을금고의 잔액은 6개월 전보다 7.2% 늘어난 251조원, 신협의 수신 잔액은 6.8% 늘어난 130조원이었다.

같은 기간 저축은행은 120조원, 상호금융의 수신 잔액도 459조원에 달해 각각 3.2%씩 늘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비은행 금융기관의 수신 잔액 증가율(0.95%)을 크게 뛰어넘었다.

지난해 하반기 국내 금융시장이 자금 경색에 직면하자 2금융권은 고금리의 예적금 상품을 선보이며 자금을 끌어모았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의 경우 공격적으로 유치한 예금을 미 국채와 주택저당증권 등에 투자했다가 갑자기 늘어난 고객의 예금인출 요구에 보유 자산을 매각하면서 대응하는 과정에서 큰 손실을 봤다. 그동안 금리인상으로 채권 가격이 급락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같은 시기 고금리로 자금을 끌어온 국내 2금융권에 대해 우려의 시각이 존재했다.

하지만 감독 당국은 SVB 사태가 국내 저축은행 등에 미칠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본다. 금감원 관계자는 "국내 저축은행의 유가증권 투자는 상대적으로 아주 미미하다"며 "SVB 관련 리스크 노출은 크지 않다"고 진단했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 역시 "저축은행은 자금 조달 후 대부분을 대출로 운용한다. 대출도 기업·개인 등으로 분산돼 SVB가 당면한 리스크와 상황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단, 2금융권이 보호해야 할 예금은 크게 늘었음에도 연체율 지표 등이 악화되는 추세라 건전성 관리 필요성은 계속 제기된다.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평균 연체율은 3%로, 6개월 전보다 0.4%포인트(p) 상승했다.

금융권에선 저축은행의 연체율이 지난 4분기 말께 3%대 초중반까지 상승했을 것으로 본다.

조달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법정 최고금리가 연 20%로 제한돼 있어 2금융권이 저신용자에 대한 대출을 줄일 수밖에 없는 점은 역마진 우려마저 키우고 있다. 특히 저축은행의 경우 금리산정체계 모범규준에 따라 조달금리가 대출금리에 반영될 때까지 6개월가량 시차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최근 저축은행의 대출금리는 작년 10∼11월 자금 경색 당시의 높은 조달금리 수준을 반영해 지난 연말보다 오히려 상승했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시장 금리가 즉각 대출금리에 반영되는 시중은행과 달리 저축은행의 대출금리 산정에는 조달금리가 뒤늦게 반영된다"며 "법정 최고금리인 연 20% 이상으로 금리를 올릴 수는 없는 만큼 불량률이 높은 고객에게는 대출을 못 내주는 '컷 오프'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손규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bal4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