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R&D 투자 확대...현대건설 '업계 최고'
정부 R&D 예산 삭감...건설사 ‘후폭풍’ 우려
전문가 "정부나 공적기관의 R&D 축소는 결국 민간에 영향"
정부 R&D 예산 삭감...건설사 ‘후폭풍’ 우려
전문가 "정부나 공적기관의 R&D 축소는 결국 민간에 영향"

1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형건설사를 중심으로 자체적인 투자 확대를 통해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기획재정부가 올해 연구개발(R&D)예산을 전년 대비 16.7% 삭감한 25조9000억원으로 책정한 것 과는 대조적이다.
대표적으로 현대건설을 꼽을 수 있다. 현대건설은 연구개발 전문 부서인 기술연구원을 두고 지난해 1∼3분기 동안 연구개발비 1128억원을 집행했다.
이는 같은 기간 매출액 11조2479억원의 1%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현대건설은 지난 2021년 1.2%, 2022년 1.1%, 지난해 1% 등 매년 매출액의 1% 정도를 R&D에 투자하고 있다.
GS건설은 지난 2021년 340억원, 2022년 347억원, 지난해 3분기 560억원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지난해 4분기까지 합하면 투자 규모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정부가 R&D 예산을 삭감하면 장기적으로 건설업계도 정부를 따라 R&D 투자를 줄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국내 기업들은 R&D 예산을 정부의 투자 의지를 가늠하는 지표로 삼고 있는데 정부가 예산을 삭감하면 건설업계도 정부를 따라 R&D 투자를 줄일 수 있다는 게 그 이유다.
실제로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연구소를 보유한 국내 기업 500개 사를 대상으로 ‘2024년 R&D 투자 및 연구인력 채용 전망’을 조사한 결과 52.2%의 기업이 연구개발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줬다’고 답했다.
건설(63.1%), 기계(60%), 자동차(67.5%) 같은 분야는 특히 부정적인 영향이 크다는 답이 많았다.
다만 업계에서는 정부의 R&D 투자 삭감이 민간 건설사에 영향을 끼칠수는 있지만 그 영향이 절대적이지는 않을것 이라고 전망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민간 쪽에서 수주 활동을 할 때 연구개발비를 수주하는 케이스가 있어 정부나 공적 기관의 R&D 축소는 결국 민간 쪽에 영향을 미친다“며 ”그럼에도 자금 여력이나 예산이 풍부하고 기술개발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기업 입장에서는 정부 예산과는 상관없이 기술개발 투자를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보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amtollee123@g-enews.com